군사지역은 TNT와 같은 화약물질이 중금속과 복합으로 오염되어 있다. 따라서 TNT에 대해 식물상 복원공법을 적용할 때 중금속이 식물체의 오염물 제거, 변환, 축적 능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착 야초류인 어저귀(Abutilion avicennae)를 TNT와 Cd으로 복합 오염된 배지에서 수경재배하여 카드뮴이 식물에 의한 TNT제거 및 변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 mgTNTA와 1.3 mgCd/L이 복합으로 존재할 때 잎의 탄력 감소, 말림 현상, 황백화 현상, 낙엽형성, 생체량 감소 등과 같은 식물 독성효과가 상승하였다. 그러나, 어저귀는 소량의 카드뮴만을 흡수하는 종으로 배지내 카드뮴이 1.3 mg/L 존재하더라도 TNT 제거, 변환, 이동 및 니트로기의 환원위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카드뮴과 TNT로 복합오염된 지역에 어저귀를 식재하면 TNT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리라 사료된다.
Most of army depots contaminated with co-contaminants, 2,4,6-trinitrotoluene(TNT) and heavy metals. In phytoremediation for the TNT, heavy metals may inhibit mineralization, transformation and sequestration of TNT by the plant. We studied effect of cadmium on TNT degradation and transformation by Abutilion avicennae in hydroponic cultures. When cultured in 20 mgTNT/L and 1.3 mgCd/L, the plant displayed phytotoxicities; reduction of leaf fresh, leaf roll, chlorosis, leaf loss and fresh weight loss. Phytotoxicity was severer in the combined contaminants than in single contaminant. Because A. avicennae uptake just a little cadmium, 1.3 mgCd/L included in the TNT medium did not influece significantly TNT transformation, translocation and distribution by A. avicennae. Therefore, the soil solution containing cadmium would not affect TNT degradation by Abutilion avicennae in Army depots polluted with T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