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의 대화에서 개인의 성과 성역할 정체감이 대화의 중단과 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낯선 남녀 대학생들을 두 사람씩 쌍(44쌍)을 이루게 하고 주어진 주제에 대해 실험실에서 10분 동안 대화하게 하였다. 부정적 중단, 긍정적 중단, 대화량 각각에 대해 설정된 9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의 요인설계가 사용되었다. 대비분석 결과 부정적 중단의 사용에서 성차는 없었고, 남성적 남성과 여성 및 양성적 남성들이 여성적 그리고 미분화의 남성 및 여성들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중단에서는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여성적 여성들이 남성적, 양성적 그리고 여성적 남성들보다 더 많이 사용하나 여성들간에는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대화량 역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으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부정적 중단은 성별보다는 성역할 정체감의 영향을 받고 긍정적 중단과 대화량은 성역할 정체감보다 성별의 영향을 받는 언어특성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성역할 정체감은 개인의 성격특성으로 통합되어 개인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주므로 언어사용 패턴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gender and the gender role identity on the interruptions(negative and positive) and the amount of talks in conversations. 44 male-female pairs of college students had dialogued each other about a given subject in the experimental stituation. Using 2x4 factorial design 9 hypotheses were formed. Planned analysis revealed that masculine man and woman and androgynous man used more negative interruptions than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man and woman. Also woman used the more positive interruptions and talked more than man regardless of the person`s gender role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