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에 영향하는 원인으로부터 결과 변인까지의 과정적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문헌고찰을 근거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하는 임상간호사의 직무환경적인 요인으로서 조직차원, 직무차원, 집단차원의 변수들을 선정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이를 공변량 구조분석에 의해 검정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병원조직에서 간호조직에 의해 관리되는 조직의 관리적 특성(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은 간호직의 고유한 직무특성(job characteristics)과 함께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job stress)에 원인변수로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는 간호사들의 일상적인 직무현장인 간호단위의 집단응집력(group coherence)을 매개로 한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다시 간호조직의 성과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호업무수행성과를 포함하는 조직유효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가정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선행변수인 조직의 관리적 특성은 집단응집력에 정적인 방향으로, 간호직의 직무특성은 집단응집력에 부적인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시 집단응집력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인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의 관리적 특성과 직무특성이 집단응집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지지 받지 못하였다. 한편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유효성에 부적인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집단응집력이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조직의 유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부서의 조직관리적인 차원에서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매개변인에 대한 추후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tructure model that explains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clinical nurses` job stress in terms of its process. Variables and factors in the organization, group and individual level and job characteristics have been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s and the factors have been verified by LISREL8.2(a) program after setting up hypothetical model. The study analyzes as follows.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 (prerequisite variable factor of job stress) directly acts on group coherence in significant positive effect, nursing job characteristics directly acts group coherence in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nd group coherence again acts directly job stress in significant negative effect. However the hypothesis that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taking group coherence as a mediator affect the job stress,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t is indicated that job stress acts directl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ignificant negative effect, but indirect effects affec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group coherence was gone through job stress, is not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