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 체육과 생활 체육의 상호보완적 연계를 통해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 방안들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관련 선행연구와 보고자료 및 참고문헌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학교 체육과 생활 체육 두 영역간의 양태에 따른 연계 방식에서 차별적, 통합적, 보완적 연계 방식 중, 현실적인 상황에서 보완적 연계 방식이 가장 바람직한 방안으로 생각된다.
둘째, 학교 체육은 `학교`와 `수업`의 테두리 내에서 교육적 이상의 한 부분에 `생활`과 `실용 중심적인 것`을 포용하는 방식의 변용이 필요하고, 생활 체육은 학교 밖의 울타리를 벗어나 `생활적인 점`을 부각하고 `외재적이고 실용적인 특징`에서 인성함양, 안목개발, 자아실현 등 학교체육의 내재적 가치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교육의 성격을 가미한 변용이 필요하다.
셋째, 인접지 지역 생활 체육시설 이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인 `이동상의 비용이성` 그리고 `비근접성`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역 생활 체육시설뿐만 아니라 학사일정과 교과내용에 따라 대학 내의 체육시설 그리고 타 학교 체윽시설 활용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동수업시 예상되는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는 현재 운영중인 학교 안전공제회의 법적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안전사고의 책임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여 창의적이고 의욕적인 교육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인접지 지역 생활 체육 자원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안적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체육수업시간의 통합적 운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섯째, 체육수업의 질적 향상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연간프로그램의 계획과 실행에서 생활체육지도자와 공동 참여를 통해 수업시간의 협동적 운영, 학습자 관리, 지도내용과 교수 학습방법의 부문에서 유기적인 정보공유와 교류를 필요로 하며, 이와 같은 인적 자원 활용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s on making an efficient Programs for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s curriculum through complementary connec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 sports. With reference to related advance research, report and reference, this study designs the following plans in terms of conceptive plan for connec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life sports and complement-enabled area in detail, based on 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First, among differential, integrated and complementary connection methods in accordance with pattern betwee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 sports, it is expected that complementary connection will be realistically desirable. Second,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required to include `life` and `practicality` in light of idealistic education within the scope of `school` and `class`. On the contrary, life sports need to add social education so as to place stress on `life activity` out of school and search for internal value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e., personality cultivation, insight development, self-realization out of `external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Third,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uneasy movement` and `inaccessibility` that may occur when using athletic facilities in neighboring cities, campus athletic facilities as well as local athletic facilities should be available according to education schedule and it may be required to utilize athletic facilities at other universities. For problems about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mobile class, it is necessary to extend legal scope of application of School Safety Fraternal Association currently in operation so as to protect from accidents and also required to create institutional frameworks to prevent creative and motivated education activities from being shrunk. Fourth,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local athletic facilities in neighboring areas, it is required to manage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alternative education and curriculum operation. Fifth, so as to increase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t is required to cooperatively operate class, manage learners, share and exchange information in the area of guidance, teaching method through joint participation of life sports leaders in annual programs. Such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in neighboring area is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 that may have positive effects up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s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