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2
18.97.14.82
close menu
Accredited SCOPUS
알부민, 카르니틴 단독 투여가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에서 운동시 에너지 대사와 지방연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bumin and carnitine ingestion on energy metabolism variables and fat oxidation during exercise of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이용수 ( Young Soo Lee ) , 하민수 ( Min Soo Ha ) , 이상현 ( Sang Hyun Lee ) , 이상호 ( Sang Ho Lee ) , 이승균 ( Seong Kyun Lee )
운동과학 vol. 13 iss. 4 493-503(11pages)
UCI I410-ECN-0102-2009-690-002410779

본 연구의 목적은 알부민. 카르니 틴(CR)의 단독 투여가 최대지방연소 운동강(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MFOEI) 수준에서의 운동후 에너지 대사 변인과 지방 연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건강한 남자 대학생 10명으로 하였으며, 최대하 운동강도는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로 하였으며, 운동은 300㎉를 소비시킬 때까지 지속하였다. 알부민(AB) 및 카르니 틴(CR) 투여와 위약 투여(PL)에 따른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에서 운동후 에너지 대사 변인과 지방 연소를 비교하기 위하여 에너지 대사변인인 산소섭취량, 호흡교환을 및 지방연소기여율과 지방연소량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에너지 대사변인은 안정시, 운동중, 그리고 회복 60분(회복 5분, 회복 10분, 회복 30분, 회복 60분) 동안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산소섭취량, 호흡교환을, 지방연소기여율 및 지방연소량 모두 처지조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호흡교환율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서 회복 5분부터 60분까지 CH 처지가 PL 처지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 처지에서는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p)05). PL 처치 보다는 높은 수지를 보였다. 측정시기별로 안정시와 비교한 결과에서도 모든 변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산소섭취량은 2가지 처치(CR, PL) 모두 운동직후부터 회복 50분까지 지속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지방연소량도 운동직후부터 회복 50분까지 PL 처지에 비하여 CR 처지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AB 처치 후에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알부민과 카르니틴 투여가 에너지 대사를 활성화 시키고 지방 연소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lbumin and carnitine ingestion on energy metabolism variables and fat oxidation during exercise of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following three different treatments methods(placebo[PL], albumin[AB] and carnitine[CR] inges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ten healthy active male college students(118.6±0.8 yaers) yaersl who were majoring physical education.. The submaximal exercise intensity of this study was the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MFOEI: 26.9±0.8㎖/㎏/min) of subjects which was determinated during graded maximal exercise test on the treadmill(Bruce protocol). To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 of energy metabolism during submaximal exercise(300㎉) after ingestion of albumin and carnitine it was compared the energy metabolic variables included VO₂, RER, fat oxidation rate(%Fat) and fat kiiocalones(Fkcal). The both three treatm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measurement times included resting. during exercise and every period of recovery in VO₂. RER. %Fat and Fkcal,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 CR and AB treatment methods. Especially, after CR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5. 10, 30 and 60min recovery periods in comparison with other treatment methods. In summary,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lbumin and carnitine have the beneficial effects on energy metabolism activity and fat oxidation facilitation by increased VO₂ and decreased RER. Especially. CR treatment method has the greater effect on fat metabol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