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분 및 탄수화물-전해질 음료보충이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 운동시 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8명의 남자 대학생으로 하였고, 각 피검자가 온도 32℃, 습도 61±13%에서 자전거 에르고 미터를 60% V˙O₂max 수준에서 120분간 타는 동안에 운동 직전, 운동시작 60분 후. 운동시작 120분 후에 각각 채혈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통제시, 수분섭취시, 탄수화물-전해질 음료보충시 각각의 경우를 비교하여 혈중 ACTH, Cortisol, Epinephrine, 그리고 Noreplnephrine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음료보충은 매 15분마다 피검자에 따라 사전 실험에서 설정한 일정한 양을 공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 운동시 수분통제, 수분보충, 그리고 탄수화물-전해질 음료보충에 따른 혈장 ACTH과 Corilsol의 변화는 수분통제시 가장 큰 가장 큰 증가를 보였고, 탄수화물-전해질 음료보충시 가장 작은 증가를 보였다. 2)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 운동시 수분통제, 수분보충, 그리고 탄수화물-전해질 음료보충에 따른 혈장 Epinephrine과 Noreplnephrlne의 변화는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 운동시 수분통제 수분보충 그리고 탄수화물-전해질 음료보충의 운동직전, 운동시작 60분 후, 운동시작 120분 후 운동 중 채혈시기에 따른 혈장 ACTH, Cortisol, Epinephrine, 그리고 Noreplnephrlne의 변화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fluid ingestion on stress hormones during prolonged exercise in the heat(temperature 32℃, relative humidity 61±3%). For this, 8 healthy university male students were made to take bicycle ergometer exercise of 60% V˙O₂max for 120 min. When water was not ingested they performed the bicycle ergometer exercise of 60°% V˙O₂max for 120 min. When water and carbohydrate-electrolyte fluid was ingested they performed the exercise as same intensity and time. Fluid was ingested respectively different mounts in every 15 min. Venous blood samples were drawn at various times(before, duration and, after the exercise session).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suggested that the level of stress hormones in the blood were greater increased when water was not ingested than when water and carbohydrate-electrolyte fluid were inges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luids ingestion during prolonged exercise in the heat required for physiological, biochemical normalization or homeostasis of human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