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즈의 자유주의적 정의론의 공동체주의적 대안으로서 제시된 왈쩌의 정의론은 <자유주의대 공동체주의 논쟁>에서 주요한 쟁점 사항이다. 자유주의적 정의론은 불편부당한 추상적 관점에서 개인주의적 합의를 통해 도출된 보편적인 도덕원칙에 의거하여 인간 사회를 객관적으로 비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보편주의를 거부하는 왈쩌의 정의론은 가치의 공유된 사회적 의미 기준과 그러한 기준에 따른 분배적 영역들의 자율성을 추구하는 복합평등론이 요체이다. 왈쩌는 가치의 공유된 의미와 분배적 영역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것이 부정의이므로 자신의 정의론이 사회비판 원칙으로 작동한다고 역설한다. 그러나 자유주의자들은 왈쩌의 정의론이 특수한 공동체의 공유된 사회적 의미에 의존하므로 상대주의적이고 보수주의적이며, 도덕적 불일치를 무시하며, 또한 복합평등론이 각 분배영역 내의 불평등은 방치한다고 논박한다. 왈쩌는 가치의 공유된 사회적 의미 기준은 최소한의 보편적인 도덕규범을 전재하므로 상대주의적이 아니며, 현존 도덕에 대한 해석을 통한 내재적 비판이 가능하므로 보수수주의적이 아니며, 도덕적 불일치는 포괄적인 해석적 평결을 통해서 상당한 정도 해소되며, 복합평등론은 분산된 인간의 재능이 다양한 분배 영역에서 발휘되도록 하므로 각 영역 내의 불평등이 전반적인 평등으로 해소될 있다고 대응한다. 왈쩌의 공동체주의적 정의론과 사회비판 가능성 입론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이러한 논쟁의 해명과 평가를 통해서 한국 사회에 대한 타산지석으로서 현대 서구 규범철학의 현재 성과와 향후 과제가 판정되고 적시된다.
Michael Walzer`s theory of justice offered as a communitarian alternative to John Rawls` theory of justice has been a major issue in the liberal-communitarian debate. Liberal theory of justice proclaims that human societies can be objectively criticized through universal moral principles, derived from individualistic agreement in the impartial choice situation. Walzer`s theory of justice, which rejects liberal universalism, consists of the criterion of shared social meanings of distributive values in the particular communities, and also of complex equality seeking distributive spheric autonomy according to the criterion. Because the shared meanings and the spheric autonomy are violated by various cases of injustice, Walzer argues that his theory of justice can be employed as a principle of social criticism. Liberals, however, object against Walzer that the shared social meanings criterion, heavily replied upon particular communities, is relativistic and conservative, and that it ignores moral disagreements in the society, and also that complex equality neglects inequality in each distributive sphere. In response, Walzer answers that the shared social meanings criterion, presupposing a minimal-universal moral code, is not simply relativistic, and that the immanent and subversive social criticism, made possible by the interpretation of existing morality, does not imply conservatism, and that moral disagreements can be solved in some degree by the deep and inclusive interpretive judgements, and also that complex equality, encouraging the widely scattered human talents flourished in the various distributive spheres, eventually promotes overall equality throughout all the spheres. The present accomplishments and the future tasks of comtemporary Western normative philosophy are figured out through the clar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liberal-communitarian debate, as an example Korean society may profit by, aroused by Walzer`s communitarian theory of justice and its attendant social criti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