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환란 이후 정부는 벤처기업 육성정책에 많은 지원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벤처기업은 연구 및 신기술의 개발보다는 지대추구에 몰입하는 현상이 두드러졌으며 다양한 주체들의 개입과 더불어 그 결과 ‘벤처 게이트’라는 사회적인 폐해를 낳았다. 5개의 대표적 벤처 게이트에서 드러난 지대추구 행위의 내부 과정의 역동적 모습을 실증적으로 검토·분석하였다. 지대추구에 관한 전통적 이론에서는 소홀히 처리되어온 지대추구 활동의 내부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존의 지대추구 모형에서 더 나아간 새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 벤처기업의 지대추구 과정의 구조적 및 역할상의 특성으로서 네트워크의 중첩성, 정치인을 비롯한 지대 통제기관 및 지대 배분기관의 개입, 지대 재판매 시장에서의 지대추구 강화, 학습지대·이전 지대의 관리 시스템 마비, Brokerage System을 통한 개입 등이 나타난다는 점을 밝혔으며, 그 처방책으로 지대 감시 시스템 강화, 지대의 회수 메카니즘 확보, 시장기능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