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적극적인 근무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공무원 후생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정부는 2003년도에 3개 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수요자 중심의 공무원 선택적 복지제도를 시범실시 하였다. 선택적 복지제도는 공무원 개개인의 선호를 반영할 수 있고, 직접 자신의 후생복지혜택의 설계에 참여할 수 있으며 후생복지이용에 있어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무원 선택적 복지제도가 갖는 이론적·실제적 의의와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시범실시기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를 활용해서 선택적 복지제도가 공무원의 후생복지에 대한 만족도 및 적극적 조직행태의 유인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LISREL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택적 복지제도의 내용과 시행과정상의 요인들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이 조직행태변화에 미치는 경로를 설정한 구조분석모형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