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의 기업지배구조는 그 나라의 정치와 문화, 사회 및 경제의 모든 기업환경을 반영한다. 따라서 미국 기업의 지배구조를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 아니라 기업환경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힘들다. 그러나 시장제도를 근간으로 기업경영의 효율성 확보와 투자자 보호에 역점을 두어 발전해 온 미국 기업의 지배구조는 고도의 시장경제를 지향하는 한국 기업에 대해서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한국 기업의 지배구조는 시장중심체제의 미국 기업의 지배구조의 장점을 살리되 금융기관과 장기적 관계에 의한 감시제도의 보완을 통하여 기업경영에 있어 기업가 정신이 제대로 발휘토록 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이해관계자의 이해조정과 기업감시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배구조의 체제를 더욱 조속히 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Corporate governance in a country reflects all environments of one`s politics, culture, society, and economy.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apply corporate governance of U. S. to that of Korea as it is. However, corporate governance of U. S. which focuses on the efficiency of firm management and the protection of investors based on market-based system gives us many implications, because Korea tries to realize the advanced corporate governance based on capital market. In order to establish the unique corporate governance of Korea, the merits of corporate governance of U. 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entrepreneurship for firm management should be displayed through the supplementation of monitoring system based on long-term relationship with financial institution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ettlement of interests of stakeholders and the surveillance of firms may be achieved efficiently, the system of corporate governance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