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The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Josa"s and their combination patterns
임동훈 ( Dong Hoon Lim )
국어학회 2004.06
국어학(國語學) 43권 119-157(39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2401108

본고는 한국어 조사 전체를 대상으로 분포와 의미가 상관적이라는 전제 아래 그 하위 부류를 나누고, 각 하위 부류 간에 존재하는 결합상의 제약과 결합 순서를 밝히고자 하였다. 격조사는 여러 통사적, 의미적 특성에 따라 문법격 조사와 의미격 조사로 나뉘는데 전자에는 ‘이/가, 을/를, 의’가, 후자에는 ‘에/에게, 에서, 으로/로, 와/과’가 속한다. 그리고 특수조사는 통합상의 특징과 의미의 성격에 따라 후치사와 첨사로 나뉘는데, 전자에는 ‘만, 까지, 다가, 밖에, 부터, 조차, 처럼, 같이, 보다, 만큼, 뿐, 대로’ 등이, 후자에는 ‘은/는, 이야/야, 도, 이나/나, 이라도/라도’가 속한다. 후치사는 기원적으로 보어를 취하는 명사나 동사가 문법화한 것으로서 선행 명사의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의미격 조사에 후행하는 특징이 있고 첨사는 그 의미가 선행 명사구만을 한정하지 않아 항상 명사구의 맨 뒤에 통합하는 특징이 있다. 문법격 조사, 의미격 조사, 후치사, 첨사 간의 통합 관계는 명사 어기에 의미격 조사가 가장 가까이 오고 문법격 조사와 첨사가 가장 뒤에 오며 그 사이에 후치사가 끼어들 수 있다. 물론 후치사 앞에 의미격 조사가 항상 오는 것은 아니어서 명사 어기 뒤에 바로 후치사가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의미격 조사는 의미가 조화될 수 있는 범위에서 제한적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고 후치사는 원칙적으로 서로 결합하지 않으며 문법격 조사와 문법격 조사, 첨사와 첨사, 문법격 조사와 첨사는 서로 결합하지 못한다.

Korean has about 100 `Josa`s and they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e total number of josa forms in Korean is too numerous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ir distribu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Korean josas on the basis of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and to reveal the combination patterns between them. Korean josas are divided into case markers and non-case markers, and the former can be classified into grammatical case markers and semantic case markers. `i/ga, eul/reul, ui` belong to grammatical case markers, and `e/ege, eseo, euro/ro, wa/gwa` belong to semantic case markers. Non-case markers can be classified into postpositions and particles, and the former includes `man, kkaji, daga, bakke, buteo, jocha, cheoreom, gachi, boda, mankeum, ppun, daero` etc, the latter includes `eun/neun, iya/ya, do, ina/na, irato/rado` etc. Historically postpositions developed from nouns and verbs requiring syntactic complements, and comes after nominal bases and semantic case markers. Particles have some modal functions and comes farthest from the nominal bases. The combination patterns between grammatical case markers, semantic case markers, postpositions and particles are that semantic case markers comes closest to the nominal bases, and grammatical case markers and particles comes farthest from the nominal bases, and postpositions can be inserted between semantic case markers and grammatical case markers, particles. The combination between semantic case markers can be possible as far as theri meanings are coherent, and the combination between postpositions is very restricted, and the relation between grammatical case markers each other, and between particles each other, and between grammatical case markers and particles is exclusiv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