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구성하고 있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 의미를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발화 장르인 언어와 관련지어 맥락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개 유아교육기관 각각 5세반의 전형적인 수업관찰과 3인의 교사 인터뷰를 통하여 이루어진 질적 연구이다. 교사들이 사용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는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언어에 담긴 생각을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의미로 재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문가들이 공유하는 아동의 개별성을 강조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에 교사들은 문제중심개입, 놀이중심, 목표 지향적 교육의 의미를 보태고 있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를 구성하면서도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리한 갈등은 아동중심교육이 어떠해야 할지에 대한 자신들의 변화를 모색하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실천으로 살아있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갈등과 변화를 요구하는 용어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plores teachers` narratives on child-centered education and contextualizes their narratives into the speech gen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study, 2 classrooms were observ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Teachers` narratives about child-centered education are alive with ideas, perspectives, and language, all within the speech gen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at the same time teachers are reconstructing different and varied meanings of child-centered education within that genre. Specific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teachers add considerations of problem-based intervention, play-centered education, and objective referent education into their meaning of child-centered education. Their articulated struggle to understand what their narratives mean and, so, with what child-centered education means,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to change their practices. The meaning of child-centered education thus develops through adding considerations and struggling to accommodate those considerations by changing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