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1
18.97.14.81
close menu
Candidate SCOPUS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하수처리장에서 최적 여재 선정
Originals : Selection of Optimum Pebbles Size in Sewage Treatment Plant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서동철 ( Dong Cheol Seo ) , 이홍재 ( Hong Jae Lee ) , 조주식 ( Ju Sik Cho ) , 박현건 ( Hyun Geoun Park ) , 김형갑 ( Hyoung Kab Kim ) , 허종수 ( Jong Soo Heo )
UCI I410-ECN-0102-2009-520-002535263

농어촌 등에서 소규모로 발생하는 하수를 환경친화적이고 높은 하수처리효율을 유지하면서 하수처리장의 장기간 사용을 위한 최적의 여재를 선정하기 위하며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한 소형하수처리장치를 호기성조 및 혐기성조로 구분하여 시공한 다음, 하수처리량 및 여재 입경별 수처리 효율을 조사하였고, 호기성조와 혐기성조에서 여재 입경별 하수의 투수속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기성조 처리수 및 방류수중의 pH 및 EC는 여제입경에 따라서 별 차이가 없었고, 용존산소는 호기성조를 동과한 호기성조 처리수의 용존산소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혐기성조를 통과한 방류수의 용존산소는 호기성조 처리수에 비해 약간 감소하여 여재입경 및 하수처리량에 따라서 별 차이가 없이 약 2.4~5.1 mg/L정도이었다. BOD,000 및 탁도 처리율은 여재 대(4~10 mm)를 사용했을 경우에도 호기성조 처리수에서 BOD 처리율은 약 91%이상, COD 처리율은 73%이상, 탁도 처리율은 83%이상이었으며, 이들 처리율은 여재입경이 작을수록 증가하였고 모든 조건에서 방류수중의 BOD 처리율은 98%이상, COD 처리율은 91%이상, 탁도 처리율은 98%이상이었다. 여재입경별 총 질소 및 총 인 처리율은 여재입경이 작을수록 약간 증가하였고, 모든 조건에서 방류수중의 총 질소 처리율은 약 45~59%, 총 인 처리율은 약 80~96% 정도이었다. 하수 처리율 및 투수속도를 고려해 볼 때 하수처리장 호기성조의 최적입경은 2~4 mm정도 혐기성조의 최적입경은 0.1~4 mm정도가 적절한 젓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에 적용하면 높은 하수처리효율을 유지하면서 하수처리장의 공극폐쇄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장기간 운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bble size on the small-scale sewage treatment apparatus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that consisted of aerobic and anaerobic plot pH and EC in both plots varied minimally regardless of pebble size. DO in aerobic plot increased as the pebble size decreased. That in the anaerobic plot was slightly less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aerobic plot, but varied minimally, 2.4~5.1 mg/L regardless of pebble size.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removals of BOD, COD and turbidity in anaerobic plot were more than 98, 91 and respectively. Removals of T-N and T-P increased as pebble size decreased.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removals of T-N and T-P in anaerobic plot were about 45~59 and 80~96%, respectively.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optimum pebble size and pebble permeability in both plot was 2~4 mm and 0.1~4 mm, respective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