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0
18.97.14.90
close menu
Candidate
PR과 기업 명성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PR의 개념, 기능 및 PR팀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 and corporate reputation: Focus on PR`s concept, function and the role of corporate PR team
차희원 ( Hee Won Cha ) , 양정은 ( Jung Eun Yang )
PR연구 vol. 8 iss. 1 216-255(40pages)
UCI I410-ECN-0102-2009-320-002877371

이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PR의 개념과 본질, 기능 및 PR팀 구성과 기업 명성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하었다.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본 기업 명성과 PR의 관련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PR의 개념 및 본질이 기업 명성과 관련성이 매우 크다고 인식하며, 특히 PR의 핵심 철학인 공중과의 호의적 관계 증진은 명성의 본질적 요소를 높이는 작업과 맞물려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PR의 다양한 영역 중에서, 특히 네 가지 기능이 영성과 관련 되어 있다고 인식한다. 기업의 우수성이나 전략적 사회 공헌 활동, 윤리성 등을 강조하는 `기업 이미지 PR,` 중요한 사회적 이슈를 기업이 선점하여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 관리 PR,` 평소 핵심 공중과의 관계 관리를 통하여 신뢰를 확보하는 ‘관계 관리 PR’, 그리고 위기 발생시 문제를 해결하는 `위기 관리 PR 등이다. 첫째, 기업 PR팀은 기업 전반의 커뮤니케이션을 책임지기 때문에 명성 관리의 핵심을 담당하는 부서이며, 기업 PR팀에 예산과 인력 등 자원을 않이 할당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기업 명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인식한다. 결론적으로, PR은 본질이나 기능, PR팀 역할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업 명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지만 현재 PR의 활동은 언론 관계 중심의 협의적 의미에 귀속되고 있다. 물론 기업 명성에 언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응답자들이 공감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협의적 의미의 PR 역할보다는 근본적인 PR 철학에 대한 인식 공유가 필요하다. 즉, 기업 명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하는 역할이 더 중요하며, 그러한 역할로써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하는 PR팀을 주축으로 통합적인 명성 관리를 통하여 기업 명성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 and corporate reputation,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take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reputation and PR, shown as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as considered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think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reputation and the concept/essence of PR. Especially the core of PR philosophy, which is about maintaining and increas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its key publics, is closely related to positive corporate reputation. Second, among the various area of PR, four functions are thought to be related with corporate reputation. The four functions are: Corporate image PR, which focuses on the excellence of a company, the company`s activities with community, and the company`s own ethics. Next function is Issues Management PR, which is about raising social interest on a certain problem or issue by letting the company pre-occupy the issue and actively manage the issue. Third function is Relationship Management PR, which is about securing key public`s trust towards an organization by managing ongoing relationship with its key publics. The last function is Crisis management, which is about effectively dealing with difficult situation when a crisis occurs. Third, because corporate PR team is responsible for overall communication activities of a company, it was thought as playing a key role in managing corporate reputation. Also, it is thought that allocating more budget and human resources can actually bring positive effect to overall corporate reputation. In conclusion, although PR is very much related to corporate reputation in terms of PR`s concept, function and the role of corporate PR team, current PR activities are practiced in the area of narrow definition of PR, mainly media relations. Although respondents agree on the importance of media`s role in managing corporate reputation, more fundamental understanding on PR and its philosophy is need to be shared. Managing corporate communication with key publics who have much influence on positive corporate reputation is more crucial and corporate reputation management has to be approached in a more integrated and strategic way in this sense. Corporate reputation management is needed to be initiated and managed by corporate PR team, since corporate PR team is eventually in charge of the communication activities of a compan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