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산모의 혈청 내에서 급성상 단백질인 serum amyloid A (SAA) 농도를 측정하여 자궁 수축 억제의 실패로 인한 조기 분만의 예측 인자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염증 반응과 관련된 여러 인자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 유용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0년 9월부터 2001년 8월까지 1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정기적인 산전 진찰과 분만이 가능하였던 총 100예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기 양막 파
Objective : This study is dire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ncentrations of serum amyloid A (SAA) in maternal serum could be used to predict a tocolytic failure in preterm delivery, by comparing with other factor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Metho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