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삼국유사』소재 단군 신화의 원전에 관한 한 가지 의문
A Question on the Original Text of Dangun Myth in 『Samgukyusa(三國遺事)』
이종문 ( Jong Mun Lee )
한문교육논집 vol. 22 347-371(25pages)
UCI I410-ECN-0102-2009-720-002397309

단군신화가 수록된 대표적인 문헌으로는 一然의 『三國遺事』와 李承休의 『帝王韻紀』가 있다. 그런데 이 두 문헌을 비교해보면 전체적인 내용은 물론이고 表記上에 있어서도 약간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요컨대 『삼국유사』의 `壇君`(`神壇樹`, `壇樹神`)이 『제왕운기』에는 `檀君`(`神檀樹`, `檀樹神`)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이는 얼핏보면 사소한 차이에 불과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단군 신화해석을 크게 달리하지 않을 수 없는 의미심장한 차이일 수도 있다. 그런데 참으로 이상한 것은 오늘날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삼국유사』, 그러니까 단군이 `壇君`으로 표기되어 있는 壬申本(1512년간행) 『삼국유사』가 간행되기 이전까지 각종 문헌에 무수하게 나오는 단군이 모두 `檀君`으로 표기되어 있다는 점이다. 더구나 놀랍게도 『삼국유사』를 직접 인용한 것으로 보이는 결코 적지 않은 문헌들에서도 단 한번의 예외조차도 없이 모두 `檀君`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것은 결국 오늘날 우리가 보고있는 『삼국유사』의 `壇君지 `檀君`의 오기가 아닐까 하는 의심을 불러 일으키기에 아무런 부족함이 없는 것 같다. 그러므로 단군신화에 대한 연구는 이제 『삼국유사』의 `壇君`이 `檀君`이 오기가 아닌지의 여부를 진지하게 확인하는 작업에서부터 다시 출발해야 할 것이다.

Two representative literatures that record Dangun Myth are 『Samgukyusa』 by ilyeon (一然) and 『Jewangungi(帝王韻紀)』 by Lee Seung-hyu(李承休). However, comparison of the two books shows slight difference not only in contents but also in notatioa In brief, Dangun(壇君), Sindansu(神壇樹), Dansusin(壇樹神) in 『Samgukyusa』 are recorded as Dangun(檀君, Sindansu神檀樹), Dansusin(檀樹神). The difference may look to be insignificant but it can be profound in meaning enough to change the interpretation of the myth. By the way, what is truly strange is that the oldest one among available versions of 『Samgukyusa』, which was published in 1512, used 壇君 to refer to Dangun while a large number of various types of literatures published before the version all used 檀君. What is more striking is that not a few literatures that seem to quote directly from 『Samgukyusa』 also use 檀君 without exception. These facts are enough to incur doubt if 壇君 in 『Samgukyusa』 is a misspelling of 檀君. Thus, study on Dangun Myth must start again from the task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壇君 in 『Samgukyusa』 is a misspelling of 檀君.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