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유치원아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른 자녀교육관에 대한 세대간 비교연구
An inter-gener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opinions of child-rearing practices according to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kindergarteners` parents
오혜진 ( Hea Jin Oh ) , 주경란 ( Kyung Ran Chu )
아동교육 vol. 13 iss. 2 165-183(19pages)
UCI I410-ECN-0102-2009-370-002724528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만 5-6세 유치원아 부모들의 자녀교육관을 세대간, 성별에 따라 비교 연구하였다. 상, 중, 하 계층에 따라 3곳의 유치원을 선정하고 만 5, 6세 유아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본인의 자녀교육관과 부모로부터 받은 자녀교육관, 과거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점수를 통하여 부모들의 설문을 각 계층별로 우선 구분하여 2세대와 1세대의 자녀교육관을 비교하였다. 또한 2세대의 과거 교육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연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로 2세대의 사회계층에 따른 1세대의 자녀교육관은 각 계층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세대의 사회계층의 따른 자녀교육관을 비교했을 때, 1세대에 비해 2세대의 자녀교육관이 다소 유아중심 교육관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세대의 성별에 따른 자녀교육관은 큰 차이는 없었으나,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다소 유아중심 교육관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과거 교육환경 만족도 차이에 있어서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more effective parent education through an inter-generational comparative investigation on the opinions of child-rearing practices according to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kindergarteners` parents. Subjects were 243 parents of kindergarteners aged five to six years old from three kindergartens,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modified from "Measurement Scale on the Opinions of Child-rearing Practices" were use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rst generation`s educational opinions of child-rearing practices according to social economic statu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cond generation`s educational opinions of children according to gender.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ast educational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social economic status and gende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s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