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7
18.97.14.87
close menu
신체자아 발달을 위한 신체접촉 발달놀이치료
On developmental play theraphy for development of body self
장미경 ( Mi Kyung Jang )
아동교육 vol. 13 iss. 2 125-136(12pages)
UCI I410-ECN-0102-2009-370-002724553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자아발달에서 신체발달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건강한 부모-자녀관계를 통해 신체접촉이 필요함과 부모-자녀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신체접촉을 활용한 발달놀이 치료에 대해 고찰하였다. 신체접촉이 유아의 애착이나 심리, 정서적 성장에 중요하다는 사실은 애착이론, 대상관계 이론 등 을 통해 잘 알려진 것이지만 그러한 점에 착안해 아동치료기법으로 발전시킨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아동들에게 유용한 놀이치료방법이 있을 수는 없으며 각 아동에게 가장 적합한 접근방법 내지 기법은 찾아내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므로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발달놀이치료는 놀이치료를 통해 도움 받을 수 있는 아동의 범위를 넓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모들을 위한 부모교육방법으로 활용한다면 적절한 양육방법에 대한 지식부족이나 부모-자녀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부모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Here the brief theory and practice of bodily self, physical touch, and developmental play therapy is introduced. Although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research done in this field, the most of play therapists have reported its effectiveness on child development. Developmental play therapy is based on physical touch including cradling, rocking, lotion massage, eye contact, sound, and touching game as if happening between mother and child. Especially, touching acts on children whose have development stopped on preneurotic stage. Brody(1995) developed the Developmental Play Therapy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holding therapy. She has been mostly influenced by three people, Des Lauriers(1962), Buber(1958), and Jane Adler(1981). Brody defiend the goal of psychotherapy as it helps children develop the psychological self begin with the appreciation of the body called `bodily self`. Developmental Play Therapy is effective for a wide range of disturbed children, including sexually abused children, attention deficit children, and destructively acting-out children. It provides the basic relationship through touch needed to develop a core self for all children, of all ages varying stages of develop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