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산업의 기술적 진보와 그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의 생성, 그리고 수요의 급증은 안정적이고 독점적인 설비중심 산업을 치열한 경쟁시장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산업의 융합화 및 글로벌(global)화는 이러한 변화를 더욱 촉진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통적인 종합통신사업자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반면, 보다 유연하고 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사업자들이 탄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는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유연성과 효율성을 갖춘 기업들이 생겨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산업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통신산업의 민영화에 있어 정부의 정책이 산업내 경쟁구조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실증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민영화의 속도와 목표가 개별 기업의 성과 뿐 아니라 산업구조에도 크게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추가로 수행된 사례분석에서도 확연하게 나타났다. 결국, 민영화에 있어서도 공정한 시장경쟁을 촉진하려는 정부의 산업정책이 산업환경을 개선하고 기존 통신사업자 뿐 아니라 신규 통신사업자의 경쟁력도 제고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Technical progress, enlargement of internet usage, the fusion of services, privatization, and globalization have changed the competition more fiercly in communication industry. Thi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require the government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competence using the proper industrial policy.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privatization policy affects th competition structure and the firm`s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industry. We find that the speed and objective of privatization policy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both firm/s performance and competition structure.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from the case study for BT and NT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ivatization policy which keeps the competition structure fair is able to improve the overall competence in communication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