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요국 전체강재와 스테인리스강재의 소비구조 및 소비패턴 변화를 비교분석 한 것으로 경제성장과정에 있어서 소비패턴의 변화는 물론 국가별로 소비패턴의 차이가 발행한 요인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세계 스테인리스강재는 지난 30년간 연평균 5% 이상 계속해서 성장해 온 소재로 전체강재가 저성장 기조를 보인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특히 지역 간의 특성에서 보면 서유럽이나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강재소비가 이미 정점을 지나 쇠퇴기에 있는데 반해 스테인리스강재는 이들 국가에서 매우 골은 성장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해 보려고 노려하였다. 또한 아시아의 대표적인 철강 강국인 일본, 한국, 대만은 유럽선진국과는 달리 스테인리스의 성장성이 그다지 높지 못한 점이 대조적인데 이들 국가의 소비특성이 유럽과는 왜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리고 아시아 국가 간에는 어떤 소비패턴의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규명해 보려고 하였다.
This essay compares and analyzes the stainless steel consumption patterns of major consuming countries. Stainless steel consumption has grown at least 5% throughout the past 30 years, while Carbon steel has Seen a comparatively low consumption rate within the same period. Total carbon steel consumption has surpassed its peak in advanced economies and is now in decline, while stainless steel consumption has experienced high, steady growth. The essay serves to explain why such differences in consumption occur, Major consuming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Japan and Taiwan show different patterns of consumption to that of Western Europe. Asia shows recently a low steady rate of consumption in stainless steel compare to that of Western Europe, and this essay attempts to explain such contrast in regional patte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