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 만성 신장 질환의 진행과정에 면역학적 또는 염증 과정의 이상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 중 cytokine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Cytokine의 하나인 TNF-α의 유전자 다형성이 TNF-α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된 당뇨병 환자와 정상 신기능의 당뇨병 환자를 중심으로 TNF-α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여 말기 신부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 말기 신부전 환자 257명과 정상 대조군 277명을 대상으로 하여 TNF-α 유전자형을 조사하고 임상 자료를 분석하였다. 당뇨병에서 TNF-α 유전자 다형성이 신부전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당뇨병 진단 후 20년 이내에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한 86명과 당뇨병 진단 후 15년이상 추적 관찰 결과 정상 신기능을 보인 92명을 비교하였다. 유전자 다형성은 대상군의 말초 혈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PCR-RFLP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 말기 신부전 환자군과 건강 대조군간의 연령별, 성별 구성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당뇨병 환자 중 신부전 발생군과 정상 신기능 대조군 간에도 성별, 연령별 구성 및 당뇨병 유병 기간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NF-α의 대립 유전자 빈도와 carriage rate를 비교해 보면 말기 신부전 환자군에서 건강 대조군에 비해 TNF2의 발현이 유의하게 낮게 관찰되었다 (p<0.05).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관찰한 결과도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한 군에서 정상 신기능을 보인 군에 비해 TNF2의 발현이 의미있게 낮았다.
결론 : 말기 신부전이 진행된 당뇨병 환자군의 TNF2 발현율이 정상 신기능을 갖는 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낮게 관찰되어졌으며 다른 원인에 의한 말기 신부전 환자들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TNF-α 유전자 다형성이 신부전 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기 위해서는 다른 독립 인자의 보정과 보다 전향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Background: It is evident that cytokines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as well as the progression of renal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ytokine gene polymorphism is a marker of susceptibility to end-stage kidney failure (ESKF) in Korean populations. Methods : -308 G/A polymorphism of tumor necrosis factor- ? (TNF-?) gene was genotyped in 257 dialysis patients and 277 age-matched healthy controls, 86 NIDDM patients with kidney failure and 102 NIDDM controls without nephropathy. Results: We found a decreased frequency of TNF- ? allele 2 (TNF2, 2.9%) in ESKF patient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7.5%, p<0.05). We also found a decreased frequency of TNF-? allele 2 (TNF2, 2.3%) in NIDDM patients with kidney failure compared to NIDDM controls without nephropathy (7.6%, p<0.05). The carriage rate of TNF2 was significantly lower in NIDDM patients with kidney failure than in NIDDM controls without nephropathy (4.4% vs. 13.2%, p<0.05). In addition, allele frequency of TNF2 were remarkably different from those previously reported, indicating a significant ethnic difference. Conclusion : There is a significant ethnic difference in the polymorphism of TNF-? gene. The non-carriage TNF2 was more prevalent in the kidney failure group. But, we could not determine any association between the TNF- ? gene polymorphism and the development of kidney failure. (Korean J Nephrol 2004;23(3): 439-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