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8
18.97.14.88
close menu
치악산 계류의 어류상
Fish fauna in the streams of Mt. Chiak
변화근 , 최재석 , 전상린 , 최준길 , 송병용 ( Hwa Kun Byeon , Jae Suk Choi , Sang Rin Jeon , Jun Kil Choi , Byeong Yong Song )
UCI I410-ECN-0102-2008-470-001577231

치악산 일대의 어류상의 특성을 밝히고 보존대책을 세우기 위하여 치악산 계류의 16개 수역에서 1994년 4월 5일부터 1995년 9월 26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16개 수역은 모두 Aa 형인 산간계류형이고 전반적으로 수질은 양호한 편이었다. 총 10과 29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에서 일차담수어는 25종(86.2%), 주연성담수어는 4종(13.8%)이었고 한반도 고유종은 14종(48.3%)이었다. 주포천과 강림천에서는 금강모치가 발견되었으나 하수남천과 봉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금강모치, 가는돌고기, 둑중개, 어름치 등의 4종이다. 치악산 계류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이며 특징적인 어종은 둑중개이다. 최상류수역에서는 둑중개, 버들치, 금강모치 등이 풍부하게 서식하고있었으며 하류로 내려오면서 갈겨니, 쉬리, 피라미 등이 각 조사 지점에서 우점하였다.

To establish the methods of conservations of fish fauna of Mt. Chiak area, the author surveyed the aquatic environments and fish fauna at 16 stations from April 5, 1994 to September 26, 1995. All of the investigated stations were mountainous valley of river types of Aa and showed considerably dear water quality. It was confirmed that 29 species of freshwater fishes from each surveyed stations and 25 species of primary freshwater fishes(86.2%) and four species of pheripheral freshwater fishes(13.8%) of the confirmed 29 species. Fourteen out of 29 species of fishes(48.3%) were known as Korean endemic species. Moroco kumgangensis inhabit in Chupo-river and Kangrim-river, but not in Hasunam-river and Pong-river. The four species of Moroco kumgangensis, Pseudopungtungia tenuicorpus, Cottus poecilopus and Hemibarbus mylodon are needed particular conservation for their survivals. Dominant species are C. poecilopusis, M. kumgangensis and M. oxycephalus in the upper stations, and Zacco temmincki, Coreoleuciscus splendidus and Z. platypus in the lower stations of the streams of Mt. Chiak.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