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ADHD 아동의 회귀억제 결함
Brief Report : Inhibition of Return Deficit of ADHD
송현주 ( Song Hyeon Ju ) , 권미경 ( Kwon Mi Gyeong ) , 오경자 ( O Gyeong Ja ) , 김민식 ( Kim Min Sig ) , 하은혜 ( Ha Eun Hye ) , 송동호 ( Song Dong Ho ) , 신민섭 ( Sin Min Seob )
UCI I410-ECN-0102-2009-180-00300855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회귀억제는 자동처리과정에 가까운 억제 주의기제로서 유기체의 효과적인 환경탐색을 위해 필수적인 기제이다. 본 연구는 ADHD아동중 회귀억제 결함을 보이는 하위집단의 유무를 밝히고 그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총 24명의 ADHD인상하에 심리학적 평가가 의뢰된 아동 중 10명은 1000ms SOA 조건에서 회귀억제를 보이지 않았다. 1000ms SOA 조전에서 회귀억제틀 보인 집단과 보이지 않은 두 집단에 대하여 집단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지능과 연령에서는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CPT 반응시간편차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누락오류, 오경보오류과 반옹시간 3개 변인에서도 회귀억제를 보인 집단의 수행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ADHD집단내 회귀억제 결함을 보이는 하위집단이 존재하며, 이러한 회귀억제 기제가 정서적 문제에서 기인한 일시적 주의 산만이 아닌 본질적인 주의결함을 가진 아동을 효과적으로 변별해 낼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Inhibition of Return` is the inhibition mechanism that is nearly to becoming automatic process and it is essential in effective visual searc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there are subgroups showing inhibition of return deficit in ADHD group or not, and to examine the features of ihnibition of return deficit in ADHD group. As a results, 10 children among 24 ADHD group that were consulted psychological testing under impression of ADHD didn`t show inhibition of return in condition of 1000ms SOA(Stimulus Onset Asynchony). In group comparison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n IQ and age variables between groups, but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reaction time variance(in CPT). In other variables of CPR the performance(ommission error, commission error, reaction time), 14 children who showed `inhibition of return` were superior to 10 children who didn`t show `inhibition of retur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exist subgroups in ADHD and that the inhibition of return mechanism will be the indicator to discriminate the child with basic attention deficit from the child with temporarily attentiond problem due to emotional probl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