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볍씨 저온발아중 α-amylase 활성과 유리 Proline 함량 변화
Changes of α-Amylase Activity and Free Proline Content Under Low Temperature During Germination of Rice
김상국 , 김영종 , 원종건 , 이상철 ( Sang Kuk Kim , Young Jong Kim , Jong Gun Won , Sang Chul Lee )
UCI I410-ECN-0102-2008-520-001466381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벼의 저온발아중 생채내의 α-amylase 활성, 유리 proline함량, 생육특성 등 몇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저온말아시 초장은 품종간에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저온발아성이 다소 강한 대야벼가 3.9㎝로 가장 우세하였으며 근장은 동진벼에서 4.8㎝로 매우 양호한 생육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 품종간 발아일수에 따른 α-amylase 활성은 발아 후 3일째 고시히까리가 가장 낮은 65.4 ㎎ 인 반면에 동진벼는 80.9 ㎎ 으로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리 proline 함량변화는 발아 후 3일째 저온발아능력이 다소 약한 품종인 상주벼와 고시히까리가 각각 1.807 μmole, 1,800 μmole인 것보다 다소 강한 품종인 동진벼와 대야벼가 각각 1,933 μmole, 1,895 μmole로 높은 함량변화를 보였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changes of α-amylase activity and free proline contents during rice germination under low temperature(13℃). The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germination rate were investigated during seed germination under the low temperature. Those growth chracteristics were the highest in Dongjin cultiver compared with other rice cultivars. The α-amylase activity of the 9 days after germination was higher in Dongjin than those of Sangju and Koshihikari cultivars. The content of free proline was increased in all rice cultivars, when the germination of rice seeds was prolanged.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α-amylase activity and free proline content of Donjin cultivar were relatively increased higher under low temperature stress than those of other rice cultiva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