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구리와 아연 처리가 벼의 발아 , 유묘의 엽록소와 유기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pper and Zinc on Germination , Chlorophyll and Organic Compounds in Seedling of Rice ( Oryza sativa L. )
김상국 , 이상철 , 민기군 , 이승필 , 최부술 , 여수갑 ( Sang Kuk Kim , Sang Chul Lee , Gi Gun Min , Seong Phil Lee , Boo Sull Choi , Soo Kab Yeo )
UCI I410-ECN-0102-2008-520-00146592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실험은 벼 종자에 구리 50㎎/ℓ과 아연 100㎎/ℓ을 처리하여 발아중 중금속에 대한 생육반응, 엽록소 함량, 유기산 함량 및 유리 proline농도 등의 변화를 일품벼와 남천벼를 실험재료로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구리 및 아연처리에 따른 벼 품종간 근장과 발아율은 일품벼에 있어 무처리구의 근장은 구리 50㎎/ℓ과 아연 100㎎/ℓ처리에서 억제현상을 보였고 발아율 역시 품종과는 무관하게 중금속 처리구에서 낮았다. 엽록소 함량은 일품며, 남천벼 모두 무처리보다 중금속 처리구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중금속 처리에 따른 유기산 함량변화는 품종과는 특이하게 반웅하지 않은 반면에 중금속 종류와는 상이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malic acid의 경우 중금속 처리와는 무관하게 가장 높았다. 유리 proline의 농도는 구리 50㎎/ℓ 처리시 3.239㎍ mole로 가장 높게 나타나 벼 초기생육에 대해 중금속의 독성은 아연보다 구리의 독성이 심하게 작용하였다. 벼 발아의 초기 생장에 대해 중금속가운데 아연보다는 구리가 독성정도가 높아 뿌리 생육을 억제하면서 유기산 함량이 증가하였다.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growth response of rice seedling to heavy metals, copper and zinc. The copper and zinc concentration in rice seedling was 50 ㎎/ℓ and 100 ㎎/ℓ, respectively. Germination. chlorophyll and organic compounds were investigated in seedling of rice with or without heavy metals. Root growth and germination were inhibited at 50㎎/ℓ Cu and at 100㎎/ℓ compared to control and such reduction in growth was more remarkable at 100㎎/ℓ Zn than at 50㎎/ℓ Cu. Chlorophyll content was slightly reduced at both 50㎎/ℓ Cu and 100㎎/ℓ Zn. Malic acid was remarkably increased at 50㎎/ℓ Cu compared with that at Zn 100㎎/ℓ regardless of rice cultivars. The content of organic acids such as succinic, citric, and malic acid and free proline was increased with treatment of copper and zinc.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