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동해안 석호의 육수학적 조사(3): 화진포호
The Limnological Survey of a Coastal Lagoon in Korea (3): Lake Hwajinpo
허우명 ( Heo U Myeong ) , 권상용 ( Kwon Sang Yong ) , 이재일 ( Lee Jae Il ) , 김동진 ( Kim Dong Jin ) , 김범철 ( Kim Beom Cheol )
UCI I410-ECN-0102-2009-450-003406522

화진포호의 육수생태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1998년 5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겨울의 결빙시기를 제외하고 2개월 간격으로 호수내 4~7개 정점에서 이화학적 수질항목, 총인 (TP), 총질소 (TN), 투명도 (SD), 엽록소 a농도를 조사하였다. 수온은 10~30℃의 분포로 계절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1월에는 표층보다 심층에서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염분도의 수직분포를 보면 정점별, 계절별로 차이는 있으나 약 1m 수심에서 화학성층(chemo- cline)이 형성되었고, 바다와 인접한 북호에서는 남호보다 높게 나타났다. DO는 화학성층 이하 수심과 수체의 혼합시에 1 mg 0₂L^(-1)내외의 낮은 농도가 빈번히 관찰되었다. 투명도는 0.2~l.7m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COD는 0.2~20.5 mgO₂L^(-1)의 농도범위를 보였다. 표층의 총인 농도는 O.024~0.275 mgP L^(-1)의 분포로 북호에 비해 남호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계절적으로는 봄철과 우기 이후에 높은 값을 보였다. 표층의 엽록소 a농도는 3.5~145.8 mg m^(-3)의 범위를 보였다. 계절적으로는 여름철보다 봄철에 높은 농도가 빈번히 나타났으며 남호의 경우 겨울철인 11월에도 50 mg m^(-3)내외의 높은 값을 보였다. 표층의 총질소는 0.24~3.15 mgN L^(-1)범위로 정점별, 시기별 변화는 총인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표층의 질산성질소는 대부분 정점에서 고갈 상태를 보였고 해안과 인접한 북호로 이동하면서 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표층과 심층의 질소의 존재형태별 구성 비율은 유기질소,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순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의 경우 표층에 비해 심층에서 2배 이상의 값이 나타났다. TN/TP는 3~44의 범위로 북호에서 높게 나타났다. Carlson(1977)에 의한 부영양화도지수(TSI)는 `98, `99및 `00년에 투명도와 엽록소 a가 각각 65, 62, 72 및 65, 73, 79로 나타났으며, 총인과 총질소는 각각 76, 66, 70 및 59, 59, 62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61종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녹조강 22종, 규조강 19종, 남조강 13종, 유글레나강 2종, 와편모조강 2종 및 황색편모조강, 갈색편모조강, 황녹색조강이 각각 1종 이었다. 2000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3문 4강 3목 19종이었며, 이중 원생동물문은 3강 5종, 절족동물문은 1강 5종, 윤형동물문은 1강 6종, 유생은 2종 이었다.

Physicochemical parameters, plankton biomass, and sediment were surveyed from 1998 to 2000 at two months interaval in a eutrophic coastal lagoon(Lake Hwajinpo, Korea). The lake is separated from the sea by a narrow sand dune. Littoral zone is well vegetated with loating-leaved aquatic plants. The lake basin is divided into two subbasins by shallow sill. It has intrusion of seawater by permeation and stormy waves. Stable chemoclines are formed by salinity difference at 1m depth all the tear round. DO was often very low(>1㎎O₂L^(-1)) at hypolimnion. Temperature inversions were observered in November. nitrate and ammonium concentration were very low (<0.1㎎N L^(-1)), even though TN was usually 2.0∼3.5㎎N L^(-1). TN/TP was generally lower than the Redifield ratio. Transparency was 0.2∼1.7m, and COD, TP, and TN of sediment were 3.1∼40.3㎎O₂g^(-1), 0.91∼1.39㎎P g^(-1), and 0.34∼3.07㎎N g^(-1), respectively. Phytoplankton chlorophyll-a concentrations were mostly over 40㎎ m^(-3). Two basins showed differenct phytoplankton communities with Oscillatoria sp.,Trachelomonas sp., Schizochlamys gelatinosa, and Anabaena spiroides dominsnt in South basin, and with Trachelomonas sp., Schroederia sp., Schizochlamys gelatinosa, and Trachelomonas sp. dominant in the North basin. The seasonalsoccession of phytoplankton was very fast, possibly due to sudden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such as wind, turbidity, salinity and ligh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