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후보 SCOPUS
GLC를 이용한 마유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are Milk using GLC
김기성 ( Kee Sung Kim ) , 김지선 ( Ji Seon Kim ) , 신미순 ( Mi Soon Shin ) , 임상동 ( Sang Dong Lim ) , 심진아 ( Jin A Shim ) , 장은희 ( Eun Hee Jang ) , 양승용 ( Seung Yong Yang ) , 박성혜 ( Sung Hae Park ) , ( B. Delger )
UCI I410-ECN-0102-2009-520-00330965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마유의 지방은 적은 양의 stearic acid과 palmitoleic acid를 가지고 있으며 반면에 많은 양의 linolenic acid과 linolic acid를 가지고 있다. 마유와 우유의 지방산을 비교하였을 때, oleic acid(C18:1)의 양은 차이가 없었으며, 불포화 지방산 성분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은 마유가 우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마유 크림에서의 linoleic acid(C18:2)는 우유보다 약 7배, linolenic acid(C18:3)은 약 50배 높은 것을 관찰하였다. 마유와 우유의 시료를 기간별로 실험한 결과 마유의 시료를 채취한 후 45일 동안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를 우유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높게 유지되었으며 이 결과 음식물로만 섭취할 수 있는 두 성분이 에너지원, 산소공급원으로 매우 유용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are milk with cow milk in liquid, powder, cream and oil by gas-liquid chromatography.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are milk with cow milk in liquid, powder, cream and oil by gas-liquid chromatography. Thes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fatty acid concentration of mare milk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ow milk, especially linoleic acid(C18:2) and linolenic acid(C18:3). The concentrations of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of mare milk were higher than those of cow milk in liquid, powder, cream and oi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