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에서 PEEP을 적용할 때 산소운반을 최대로 하려는 노력은 결국 조직에서의 산소섭취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이며, 이는 조직의 산소섭취가 산소운반에 비례한다는 가정에 근거하나 이에 대해서는 아직 이견이 많다. 한편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과는 호흡부전의 기전이 다른 급성 폐동맥색전증에서 산소운반과 산소섭취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방법 :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과 급성 폐동맥색전증에서 산수운반과 산소섭취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국산 잡견 14마리중 7마리에는 oleic acid를 정주해 성인성호흡곤란증후군을 유발하고 나머지 7마리에는 자가혈병을 이용해 급성 폐동맥색전증을 유발한 후 PEEP 수준을 변화시키며 환기 및 혈류역학의 제지표를 측정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산소운반과 산소섭취 : ARDS군은 12~28ml/min/kg 의 산소운반 범위에서 산소운반의 감소에 따른 산소섭취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고, 산소운반의 변화와 산소섭취의 변화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5, p<0.05). 산소추출률(oxygen extraction ratio)과 산소운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급성 폐동맥색전증군에서 역시 7~29ml/min/kg의 산소운반 범위에서 산소운반의 감소에 따른 산소섭취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고, 산소운반의 변화와 산소섭취의 변화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7, p<0.05). 산소추추률과 산소운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2) 혼합정맥혈 산소분압 : ARDS군에서 산소운반의 변화와 혼합정맥혈 산소분압의 변화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r=0.79, p<0.05), 혼합정맥혈 산소분압의 변화와 심박출량의 변화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75, p<0.05).
급성 폐동맥색전증군에서 역시 산소운반의 변화와 혼합정맥혈 산소분압의 변화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r=0.83, p<0.05), 혼합정맥혈 산소분압의 변화와 심박출량의 변화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72, p<0.05).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산소공급에 대한 조직에서 산소 섭취의 의존성은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고 급성 폐동맥색전증에서도 관찰되며, 혼합정맥혈 산소분압은 이 두 질환에서 조직에의 산소공급의 변화를 예견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생각된다.
Background: In adult re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the pathologi supply dependence of oxygen consumption, whoch provide the basis for `best PEEP`, is suggested, but which is still in controversy. And in acute pulmonary embolism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n oxygen transport and oxygen consumption. Method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n oxygen transport and oxygen consumption in ARDS and acute pulmonary embolism, experimental ARDS was induced in 7 mongrel doges with oleic acid and acute pulmonary emblism in 7 dogs with autologous blood clot. Then hemodynamic and gas exchange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 serial increment of PEEP. Results: In ARDS group, blow the oxygen transport of 28 ml/min/kg, the change of oxygen consumption was linearly related to the change of oxygen transport(r=0.55, p<0.05). Oxygen extraction ratio didn`t correlate with oxygen transport. In acute pulmonary embolism group, below the oxygen transpot of 29ml/min/kg, change of oxygen consumption was linearly relatred to change of oxygen transport(r=0.57, p<0.05). Oxygen extraction ratio didn`t correlate with oxygen transport. In ARD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oxygen tension (r=0.79, p<0.05). In acute pulmonary embolism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oxygen transport and change of mixed venous oxygen tension (r=0.83, p<0.05).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oxygen consumption and oxygen transport is not unique to ARDS. Mixed venous oxygen tension seems to be sensitive predictor of oxygen transport in both ARDS and acute pulmonary embo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