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8
216.73.216.138
close menu
KCI 등재 SCIE
식품 : 한국산 배과피 폴리페놀 분획군의 생리활성효과
Food ; Biological Activity of Polyphenol Group Fraction from Korean Pear Peel
안봉전 ( An Bong Jeon ) , 이진태 ( Lee Jin Tae ) , 곽재훈 ( Gwag Jae Hun ) , 박정미 ( Park Jeong Mi ) , 이진영 ( Lee Jin Yeong ) , 손준호 ( Son Jun Ho ) , 배종호 ( Bae Jong Ho ) , 최청 ( Choe Cheong )
UCI I410-ECN-0102-2009-520-003303821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한국산 배과피의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폴리페놀 성분을 분획하여 그 생리활성 및 암세포증식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자공여능에서는 50ppm에서 분획물 Ⅱ,Ⅲ에서 8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SOD 유사능은 분획물 Ⅱ,Ⅲ의 500ppm군에서 50~60%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통풍과 관련있는 xanthin oxidase 실험에서는 분획물 Ⅰ의 저해 효과는 미미하였으나 Ⅱ와 Ⅲ에서는 50ppm에서도 80%에 이르는 높은 저해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유선암세포(MDA) 생육억제 실험에서는 분획물 Ⅱ보다 Ⅲ가 높은 증식억제능을, 2,000ppm에서는 약 60%의 억제능을 나타내었고, 전립선암(PC-3)의 세포억제효과에서는 Ⅲ보다 Ⅱ에서 오히려 억제 효과가 높았고, 500ppm에서 약 23%의 억제효과가 관찰되어 한국산 배과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iological activities and anticarcinogenicity of Korean Pear peel were investigated. Electron donat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fraction Ⅱ, Ⅲ were up to 80% and 50~60% at 50ppm, respectively. Inhibitory effects on xanthine oxidase were about 80% at 50ppm, breast adenocarcinoma was about 60% at 2,000ppm, higher Ⅲ than Ⅱ. Inhibitory effect on prostate adenocarcinoma was about 23% at 500ppm. In conclusion, Korean pear peel was expected to use as a functional materia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