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DCA는 대장암 발생의 종양 촉진 인자로 잘 알려져 있으나 종양 촉진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HT-29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데옥시콜릭산 투여 후 NF-κB의 활성화 여부와 IL-8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고 IL-8의 발현이 전사 조절 인자인 NF-κB에 의하여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장암의 화학 예방 약물로 잘 알려진 TUDC가 DCA 매개 IL-8 발현을 차단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HT-29 대장암 세포주에 DCA를 시간 및 농도별로 처리한 후 EMSA 방법을 이용하여 NF-κB의 결합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IκBα의 발현 변화를 평가하였다. DCA 매개 NF-κB의 활성화에 반응성 산소기가 상위 경로에 관여하는지를 평가하고자 rebamipide와 PDTC를 전처리한 후 NF-κB의 결합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DCA를 시간 및 농도별로 처리한 후 세포주 상층액에서 ELISA법으로 IL-8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DCA 매개 IL-8의 활성화에 미치는 NF-B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p65 및 p50 subunit에 대한 AS-ODN으로 처리한 세포주에서 DCA 자극 24시간 후 IL-8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장종양의 억제 물질로 알려진 TUDC를 전처리한 후 DCA 매개 IL-8의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DCA 자극 후 30분부터 8시간까지 NF-κB (p50/50과 p65/50)의 결합 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IκBα의 발현은 억제되었다. IL-8의 발현은 DCA (50-200 μM) 자극 후 시간 및 농도(50-200 μM)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TUDC의 전처리는 DCA 매개 IL-8의 발현을 의미 있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p50 또는 p65 AS-ODN을 이용한 일시적인 트랜스펙션은 DCA 매개 IL-8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DCA는 NF-κB의 활성화를 통한 항고사 작용과 IL-8의 발현을 통한 혈관형성을 통하여 대장종양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으며 DCA 매개 IL-8의 발현은 대장종양 억제 물질로 알려진 TUDC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Background/Aims: Deoxycholic acid (DCA) has been appeared to be an endogenous colon tumor promot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DCA induces nuclear factor-kappa B (NF-kB) activation and IL-8 expression, and tauroursodeoxycholic acid (TUDC) inhibits this signaling in HT-29 cells. Methods: After DCA treatments, time courses of NF-kB binding activity were determin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Also, we performed Western blotting of IkBα to confirm NF-kB activation. Time and concentration courses of DCA-induced secretion of IL-8 were measured with ELISA in supernatants of cultured media from the cells. To evaluate the role of NF-kB, IL-8 levels were assessed after pretreatment with using phosphorothioate-modified anti-sense oligonucleotides (ODN). Moreover, DCA-induced secretions of IL-8 were measured after pretreatment with TUDC. Results: DCA dose-dependently induced prominent NF-kB binding complexes from 30 min to 8 hr and degradation of IkBα. The secretions of IL-8 were increased with DCA (50~200 μM) treatment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Pre-incubation of the cells with TUDC (0.1~10 μM) for 2 hours caused significant decreases in DCA induced IL-8 secretion. However, transient transfection using p50 or p65 AS-ODN showed no effect on IL-8 secretion. Conclusions: DCA may play as a colonic tumor promoter through anti-apoptotic effect of NF-kB activation and IL-8 expression, and DCA-induced NF-kB independent IL-8 expression is inhibited by TUDC. (Korean J Gastroenterol 2004;43:176-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