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차 환경과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이 균형있는 환경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치관, 지식, 기능, 태도, 참여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내용영역에서도‘인간과 환경’, ‘환경문제’, ‘환경보전’이라는 세 영역을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에서 계속적으로 다루면서 심화·확대시키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에서는 이들 세 영역 이외에‘환경과 사회’의 영역 등을 추가하여 학습자들이 자연과학적인 측면에서의 이해에서 벗어나 인문·사회과학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해 우리의 삶과 환경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인식하고, 환경문제해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제 7차 환경과 교육과정에서도 학습자들의 일상적인 삶의 영역과의 관련성을 염두에 두고 있으면서도 대부분의 내용들이 환경파괴나 환경오염, 그리고 그에 대한 대책 등과 관련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환경적 감수성이나 환경에 대한 아름다움을 통한 환경교육의 가능성이 그만큼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을 매개로 한 미학적인 관점에서 제 7차 학교급별 환경교육의 특성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ocuses on consideration of learner’s ability, learner’s activities, and learner’s region of everyday life.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scattered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and an independent subject as ‘Environment’ in middle school and ‘Environment and Ecology’ in high school of the secondary school. With upgrading of schools, the aims and activities of environmental learning move up from valuecentered, through activity-oriented and to cognition-centered. The esthetic considerations, such as landscape sensitivity, are required for better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value and attitudes in everyday life space or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