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의 셀렌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ICP-OES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시료전처리는 우유의 수분을 제거한 후 질산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유기성분을 제거하였고, 최종적으로 다시 과산화수소로 미량의 유기성분을 산화시켰다. 셀렌은 휘발성 무기성분이므로 전처리된 용액에 NaBH₄와 HCI을 이용하여 셀렌의 수소화(hydride)반응으로 끓는점을 높이고 분석감도를 향상시켰다. 수소화 반응 중 HCI 농도의 최적조건은 2 mol/L에서 최대 cps(counter per sec)로 나타났고, NaBH₄와 시료 유속의 최적조건은 각각 1.5%와 1.2mL/min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HG 조건이 시료 메트릭스에 따른 간섭효과를 제거하였으며, 최적의 정량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조건으로 표준물질을 이용한 셀렌의 직선성 상관계수(R)는 0.98로서 우유에 함유된 셀렌 분석에 적용할 수 있었다. Standard addition method를 이용한 회수율은 10ppb에서 88.0% 이었고, 첨가된 농도가 증가할수록 회수율 및 RSD는 정확성 및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termine the quantity of selenium in milk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The sample was digested in teflon vessel containing nitric-hydrogen peroxide acid mixture. After digestion, the sample in treated with additional hydrochloric acid. Total selenium was reduced with sodium borohydride and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in a simplified hydride generation(HG) manifold. The optimum conditions of HG are 2 M for HCI, 1.5% for NaBH₄ 1.2mL/min for sample flow. Recovery rates by the standard addition method were 88.0% at 10 ppb and 92.2% at 10 ppm.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were 4.8 and 3.2%, respectively. This method showed a good accuracy and precision. And so it was highly suitable for determination of small quantity of selenium in mi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