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toparan B (MPB)는 벌독으로부터 정제된 양친매성α-helical 구조를 취하면서 1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염기성 항균성 펩타이드로서 여러 가지 생물막과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연안의 적조 (HABs, harmful algal blooms)를 일으키는 4종의 적조생물 (Alexandrium tamarense, Chattonella catenatum)에 대한 MPB의 살조효과를 조사하였다. MPB의 4종의 적조생물에 대한 살조효과는 31.3㎍/㎖에서 세포의 lysis또는 ecdysis와 같은 형태로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MPB는 C. marina 및 C. polykridorides에 대해서 A. tamarense와 G. catenatum보다 더욱 강한 살조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MPB의 HABs에 대한 살조효과연구는 새로운 살조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Mastoparan B (MPB), an antimicrobial cationic peptide isolated from the venom of the hornet Vespa basalis, is a basic amphipathic a-helical peptide composed of fourteen amino acid residue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algicidal effect of MPB against hatmful algae blooms (HABs) casative Alexandrium tamarense, Chattonella marina,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Gymnodinium catenatum. The algicidal effect of MPB showed in the concentration of 31.3 ㎍/㎖ to 500 ㎍/㎖ against 4 HAB species and observed cell lysis or cell ecdysis by microscopy. MPB reacted more sensitive to C. marina and C.polykrikoides than A. tamarense and G. catenatum. The algicidal study of MPB against HABs will provides much insight into development of new algicidal sub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