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1
18.97.14.91
close menu
감염에 의한 MALToma 발생에서 chemokine의 역할
이은희 ( Lee Eun Hui ) , 송영준 ( Song Yeong Jun ) , 박수진 ( Park Su Jin ) , 김영배 ( Kim Yeong Bae ) , 박현경 ( Park Hyeon Gyeong ) , 여말희 ( Yeo Mal Hui ) , 이광재 ( Lee Gwang Jae ) , 유병무 ( Yu Byeong Mu ) , 김진홍 ( Kim Jin Hong ) , 함기백 ( Ham Gi Baeg )
UCI I410-ECN-0102-2012-510-000390510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Helicobacter pylori 감염 후 대부분에서는 급, 만성 위염 또는 무증상인 상태로 지내게 되나 일부에서는 위암 혹은 MALToma 및 위림프종으로 진전하게 된다. 아직까지 H. pylori 감염에 따른 위암 및 위 림프종의 발생에 직접적인 발병 기전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chemokine 발현 증가에 의하여 염증은 물론 림프종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런데 chemokine은 inflammatory chemokine과 lymp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