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SCIE
식품 : 유색 보리 종실의 품종별 색소 특성
Food : Characteristics of the Pigments Extracted from Grains of Colored Barley
주완택 ( Ju Wan Taeg ) , 민경수 ( Min Gyeong Su ) , 박노동 ( Park No Dong )
UCI I410-ECN-0102-2009-520-003305714

유색보리 4품종과 보통보리 4품종 종실의 종피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의 특성을 분석하여 해당작물의 신품종 육성시 우수계통 선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유색(검정)쌀보리인 Ab2231을 표준시료로 하여 실험한 결과 에탄올의 농도가 80%일 때 색소추출 효율이 양호하였다. 80% 에탄올에 1.0% 염산을 첨가한 것이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다.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효율성을 조사한 결과 1시간 추출이면 충분하였다. 추출된 색소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시키는 산의 적정농도를 알아본 결과 1.0% HCl을 첨가한 농도에서 가장 낮은 색소량 감소율이 나타났다. 각 보리 품종 시료에서 추출한 색소의 흡광스펙트럼을 조사하였던 바, Ab2231의 그것은 535㎚에서 최대흡광파장을 나타내어 안토시아닌계 색소로 판단되었으며, 호계4호의 그것은 안토시아닌계 이외의 색소를 주로 함유하는 것으로 보였다. 한편, 추출된 색소의 특성에 따라 유색보리의 품종은 Ab2231와 모찌무기로 대표되는 쌀보리 그룹과 Lion과 호계4호로 대표되는 겉보리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gments extracted from grains of the colored barley varieties Ab2231. Mozzimugi, Lion, and Hogye 4 were studied. Extraction of the pigments from powder (80 mesh) of the barley grains was most efficient in 80% ethanol containing 1.0% HCI for 1 hr at 60℃. The pigments were also stable in 80% ethanol containing 1.0% HCI. Depending on the absorption spectra, maximal peak wavelength, and the ratio of A_(440)/Anu_(max), the varietie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colored naked barley (Ab2231 and Mozzimugi) and colored covered barley (Lion and Hogye 4).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