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Accredited
오버레이 멀티캐스팅에서 트리의 스위칭을 고려한 빠른 멤버 가입 방안에 관한 연구
Fast Join Mechanism that considers the switching of the tree in Overlay Multicast
조성연 ( Jo Seong Yeon ) , 노경택 ( No Gyeong Taeg ) , 박명순 ( Park Myeong Sun )
UCI I410-ECN-0102-2009-000-003753657

인터넷 멀티캐스팅 기술은 지난 10여년간의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 본격적인 서비스 보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주된 이유는 멀티캐스트 라우팅에서의 트래픽 제어, 글로벌 인터넷에서의 멀티캐스트 주소 할당, 멀티캐스트 신뢰전송 기법 등의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 인터넷 방송, 실시간 증권정보 서비스 등의 멀티캐스트 응용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인터넷 멀티캐스팅 기술로써 오버레이 멀티캐스팅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오버레이 멀티캐스팅 기술을 살펴보고, 새로운 멤버가 그룹에 가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식은 잠재적인 부모 노드를 발견하기 위해서 한번에 트리의 한 레벨씩을 검색해 내려갔으며, 이로 인하여 긴 가입 지연 시간이 야기되었다. 또한, 트리의 매 레벨에서 자신과 가까운 노드를 잠재적인 부모 노드로 지적함으로써, 최적의 부모 노드를 선택하려고 노력하였지만 실제로 노드의 제한 차수로 인하여 자신과 가장 가까운 잠재적인 부모 노드를 선택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트리의 효율성이 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입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고, 생성된 트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트리의 두 레벨씩 검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가입 요청 메시지를 자신의 자식 노드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평상시에 트리 유지를 위한 추가적인 오버헤드 없이, 가입 요청이 왔을 때 검색 메시지의 수를 증가시켜서, 빠르게 가입을 완료한다. 또한, 더 많은 노드를 검색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트리를 생성하게 도와준다. 제안하는 방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그룹의 멤버 수와 제한 차수를 기준으로 검색 시간 및 검색한 노드의 수 그리고 트리 스위칭 횟수를 측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제안한 기법이 기존의 방식에 비해서 가입 지연 시간을 단축시켰으며, 좀 더 효율적인 트리를 생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More than a decade after its initial proposal, deployment of IP Multicast has been limited due to the problem of traffic control in multicast routing, multicast address allocation in global internet, reliable multicast transport techniques etc. Lately, according to increase of multicast application service such as internet broadcast, real time security information service etc., overlay multicast is developed as a new internet multicast technology.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overlay multicast protocol and propose fast join mechanism that considers switching of the tree. To find a potential parent, an existing search algorithm descends the tree from the root by one level at a time, and it causes long joining latency. Also, it is try to select the nearest node as a potential parent. However, it can't select the nearest node by the degree limit of the node. As a result, the generated tree has low efficiency. To reduce long joining latency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tree, we propose searching two levels of the tree at a time. This method forwards joining request message to own children node. So, at ordinary times, there is no overhead to keep the tree. But the joining request came, the increasing number of searching messages will reduce a long joining latency. Also searching more nodes will be helpful to construct more efficient tree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fast join mechanism, we measure the metrics such as the search latency and the number of searched node and the number of switching by the number of members and degree limit.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our mechanism is superior to that of the existing mechan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