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Accredited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혈청 CA 125의 임상적 의의
Liver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CA 125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김영신 ( Kim Yeong Sin ) , 김도영 ( Kim Do Yeong ) , 유금혜 ( Yu Geum Hye ) , 송지현 ( Song Ji Hyeon ) , 김명신 ( Kim Myeong Sin ) , 정해선 ( Jeong Hae Seon ) , 박지영 ( Park Ji Yeong ) , 정혜경 ( Jeong Hye Gyeong ) , 유권 ( Yu Gwon ) , 문일환 ( Mun Il Hwan ) , 백진영 ( Baeg Jin Yeong )
UCI I410-ECN-0102-2009-510-003343632

목적: CA125는 고분자량의 당단백으로 상피성 난소암을 포함한 여러 가지 암의 종양표지자로 사용되고 있고,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에서도 상승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상승 정도와 기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혈청 CA125를 측정하여 간질환의 중증도와 복수의 유무에 따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은 만성 간질환 환자 92명으로 만성 간염 22명과 간경변증 70명(Child 등급 A 19명, B 28명, C 23명)이었으며, 복수를 동반한 환자는 41명(45%)이었다. 혈청 CA125는 RI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혈액 채취 당시 복수의 유무는 신체검사, 복부 초음파검사 및/또는 전산화단층촬영검사로 확인하였다. 결과: 혈청 CA125치는 간경변증 군이 만성 간염군에 비해 유의하게(p<0.001) 높았다. 간경변증의 중등도에 따라 Child 등급 C군이 A군에 비해 유의하게(p<0.05) 더 높았다. 그러나, 같은 Child 등급 B군이라도 복수가 있었던 군의 혈청 CA 125치가 복수가 없었던 군에 비해 유의하게(p<0.05) 더 높았다. 다중회귀분석에서 복수의 존재(p<0.05), 혈청 알부민(p<0.001) 및 프로트롬빈시간(p<0.05)이 혈청 CA 125 상승과 관련된 독립된 인자들이었으며, Child 등급, 혈청 총 빌리루빈 및 간효소치는 관련되지 않는 인자들로 나타났다. 결론: 혈청 CA 125치는 간경변증 환자 중 복수가 있는 경우 유의하게 상승하며, 그 기전은 간질환의 중증도보다는 복수 자체에 의한 복막의 이차적인 자극 반응이 더 관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CA 125 level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has not been widely appreciated in relation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We examined serum CA 125 level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liver disease and the presence of ascites. Methods: Fasting serum CA 125 levels were measured by a commercial RIA kit in 92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22 with chronic hepatitis and 70 with liver cirrhosis (Child class A, 19; B, 28; C, 23). Forty-one patients (45%) had ascites. Results: The patients with Child class C liver cirrhosi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serum CA 125 level than those with class A (p<0.05). In Child class B patients, the mean serum CA 125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scites than in those without (p<0.05).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ascites, serum albumin, and prothrombin time were independent factors related to the increase of serum CA 125 levels. Conclusions: The presence of ascites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CA125 level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than the severity of liv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3;42:409-414)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