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비공유 공간 클러스터 환경에서 효율적인 병렬 공간 조인 처리 기법
Efficient Parallel Spatial Join Processing Method in a Shared-Nothing Database Cluster System
정원일 ( Jeong Won Il ) , 이충호 ( Lee Chung Ho ) , 배해영 ( Bae Hae Yeong )
UCI I410-ECN-0102-2009-000-003755959

기존의 단일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들이 과도하게 몰릴 경우 서버에 발생하는 네트워크 통신량의 증가와 자원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서비스 처리 시간의 지연 및 서비스의 중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저비용의 여러 단일 노드를 고속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고성능을 제공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가 대두되었으나, 단일 노드에서 처리할 경우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고비용의 공간 조인 연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의 분할과 부분 중복 기법을 사용하는 비공유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환경에서 고비용의 공간 조인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논리적 분할 영역 및 병렬 공간 조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기존의 병렬 공간 조인 기법에서 나타나는 노드간 작업 생성 및 할당 단계가 필요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메시지 전송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비용의 공간 조인 질의에 대해 기존의 비공유 구조를 위한 병렬 R-tree 공간 조인 기법보다 23%의 성능향상을 보인다. 또한, 각 클러스터 노드에서의 중복 정제(Refinement) 연산을 제거하므로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을 제공한다.

Delay and discontinuance phenomenon of service are cause by sudden increase of the network communication amount and the quantity consumed of resources when Internet users are driven excessively to a conventional single large database server. To solve these problems, spatial database cluster consisted of several single nodes on high-speed network to offer high-performance is risen. But, research about spatial join operation that can reduce the performance of whole system in case process at single node is not achieved. So,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parallel spatial join processing method in a spatial database cluster system that uses data partitions and replications method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ata. Since proposed method does not need the creation step and the assignment step of tasks, and does not occur additional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cluster nodes that appear in existent parallel spatial join method, it shows performance improvement of 23% than the conventional parallel R-tree spatial join for a shared-nothing architecture about expensive spatial join queries. Also, It can minimize the response time to user because it removes redundant refinement operation at each cluster nod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