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항균활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를 80% methanol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다. 용매분획별 수율은 밤꽃에서 ethylacetate 1.94%, methanol 4.75% 및 water 7.81%였고, 밤잎은 ethylacetate 2.24%, methanol 5.03% 및 water 8.47%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은 Gram 양성 및 음성의 모든 균주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ethylacetate 및 water 분획 추출물은 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60㎎/disc 이상에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는 control에 비하여 밤꽃과 밤잎 추출물은 모두 낮은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각 추출물은 모두 배양 18시간까지는 현저히 낮은 생육저해를 보이다가 그 후는 약간 높아졌다. 밤꽃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생육저해효과를 보인 반면에, water 추출물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생육저해를 보였으며, 밤잎 추출물은 각 추출물에서 거의 비슷한 생육저해를 보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을 B. subtilis에 각각 500ppm씩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아니한 경우는 전형적인 Bacilli의 형태를 보였지만, methanol 분획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세포의 형태가 일그러지고 손상을 입은 형태를 보였다.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leaves and flowers were extracted with 80% m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ethylacetate, methanol and wate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in each fraction were investigated. Methanol fraction of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 showed strong antimicrbial activities against both of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The ethylacetate and water fraction, however, showed only weak antimicrobial activities whe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occurre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s against 5 strains of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were at 60 ㎍/disc. The extracts of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s inhibited the growth of Bacillus subtilis at 0.5% (w/w) concentr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B. subtili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as used. The B. subtilis was damaged when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chestnut leves and flowers were at 500 p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