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4
18.97.9.174
close menu
Accredited SCOPUS
광촉매 반응 시스템에서 오존을 이용한 VOC 및 악취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VOC and Odor Using Ozone in Photocatalytic Reaction System
정규철 ( Jeong Gyu Cheol ) , 홍성창 ( Hong Seong Chang )
공업화학 vol. 14 iss. 5 671-679(9pages)
UCI I410-ECN-0102-2009-570-003224714

최근 가장 중요한 기술적이 문제 중의 하나는 대기 내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및 악취의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처리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acetone, MIBK, benzene, ammonia를 대상으로 광촉매 반응에서 오존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시스템을 photocatalysis, O₃-photocatalysis, O₃/photocatalysis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촉매 반응 시 오존의 영향은 분해 대상가스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광촉매 반응에 의한 오존의 분해를 고려하여 일정 농도 이상의 오존이 필요하였다. 특히 오존은 방향족 유기화합물인 benzene의 분해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ammonia의 중간생성물질인 NO를 NO₂로 산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해 대상가스마다 각기 다른 시스템에서 최적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ical issues of recent years is the effective and economical dispos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nd odor in ai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ozone for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f common and toxic VOCs including acetone, MIBK, benzene, and ammonia in the gas phase. The systems were divided into photocatalysis, O_(3)-photocatalysis, and O_(3)photocatalysis. The effect of ozon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VOC and odor. Because of the degradation of ozone was based on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zone beyond a certain concentration was needed. Especially, ozone affected the degradation of benzene, an aromatic organic compound and oxidized NO, an intermediate in ammonia process. to NO_(2). The optimum system for the degradation of VOC and odor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VOC and odo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