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4
18.97.9.174
close menu
Candidate
효과적인 지형표현을 위한 등고선 간격 일반화에 관한 연구
Effects of the Generalization of the Contour Interval on Presentation of Geomorphic Elements
한균형 ( Han Gyun Hyeong ) , 이민부 ( Lee Min Bu ) , 김남신 ( Kim Nam Sin ) , 신근하 ( Sin Geun Ha )
UCI I410-ECN-0102-2009-450-003406966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1:25,000과 1:50,000 지형도에서 소규모 지형표면을 위해 등고선 간격 일반화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고 있다. 등고선 간격을 통한 지형요소 파악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IKONOS 영상과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입체지도와 음영기복도를 작성하였다. 1:5,000에서 등고선으로 표시되고 있는 주요 지형요소는 곡지, 해안단구, 침식구릉, 산록완사면 등이다. 그러나 소축척이 될수록 등고선 간격의 영향으로 소규모 지형의 표현이 약해지거나 사라진다. 등고선 간격의 일반화 장식의 도출을 위해 기존의 이론적 공식을 재구성하였고, 그 결과 등고선의 간격은 1:5,000은 3m, 1:25,000은 6m, 1:50,000은 12m 간격의 등고선으로 일반화되었으며, 그 결과 소규모 지형들이 비교적 잘 나타났다. 등고선의 일반화에 의해 제작된 지도들은 지형요소 파악이 중요한 지형분류도, 토지이용도, 지도교육 목적에 유용할 것으로 본다.

The study deals with generalization of the contour interval for the advanced presentation of geomorphic elements in maps of 1:25,000 and 1:50,000 scales, popularly used on geomorphological research. For the generalization experiment, IKONOS image and1:5,000 digital elevation map re used. In 1:5,000 scale map, typical geomorphic elements are valley plain, weathered low relief range, smoothed mountain slope, coastal dune, and coastal terrace. For the modeling for generalization of contour interval, previous equations are modified and reconstructed. By the newly constructed generalization equation, optimized intervals are calculated as 3m of 1:5,000, 6m of1:25,000 and 12m of 1:50,000 scales, for the well defined presentation of mirco-landforms various scales maps. Reconstructed by new generalization equation seems to be useful for geomorphological map, and cartographic education map, relating to require geomorphic elem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