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조미채소 재배지의 토양 화학성에 따른 균근균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Den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Seasoning Crop Cultivation
손보균 ( Bo Kyoon Sohn ) , 김홍림 ( Hong Lim Kim ) , 김영주 ( Young Ju Kim )
UCI I410-ECN-0102-2009-520-00330491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조사지역의 평군 토양화학성은 pH 5.93, 유기물함량 25.9 g kg^-1, 유효인산 742 mg kg^-1, NO_3-N 44.7 mg kg^-1 이었으며, 토양 1g당 균근균 포자는 양파 12.1, 마늘 11.7, 고추 10.1로 작물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토성에 따른 포자수는 식토와 미사질 식토에서 토양 1g당 15개 이상의 포자밀도를 보였으며, 토양 pH, OM, NO_3-N, A_v. P_2O_5등 토양양분함량과 포자밀도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포자수는 양분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수준을 보였다. 종이 확인된 균근균 수집포자는 Glomus속 2종과 Gigaspora속 3종으로 Glomus clarum, Glomus intraradices, Glomus etunicatum와 Gigaspora rosea, Gigaspora margarita 등 이었다.

The average values od soil chemical concentration in investigation regions were pH 5.93, 25.9g kg^-1 of organic matter, 742 mg kg^-1 of available phosphate and 44.7 mg kg^-1 of nitrate nitrogen. The number of mycorrhizal spores analysed from 1g of soil sample was 12.1 for onion, 11.7 for garlic and 10.1 for red pepper. In fractionation of soil texture, clay and silty clay showed more than 15 spores per 1g of soil.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pore density and soil nutrition of pH, organic matter, NO_3-N and Av, P_2O_5. However, the number of spores was constant level in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soil nutrition. Spore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Glomus clarum, Glomus intraradices, Glomus etunicatum, Gigaspora rosea, Gigaspora margarit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