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69
18.97.9.169
close menu
Accredited
계약직 공무원의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 일반직 등 비계약직 공무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Job Attitudes of Contingent Public Employees: Contrasts with Non-contingent Public Employees
강제상 ( Je Sang Kang ) , 김상묵 ( Sang Mook Kim ) , 김종래 ( Jong Rae Kim ) , 강창민 ( Chang Min Kang )
UCI I410-ECN-0102-2009-350-003497402

공직임용의 전문성과 개방성을 제고하고, 탄력적이고 유연한 인력관리를 위하여 계약직공무원제도가 1998년에 도입되었다. 책임운영기관제도와 개방형 직위제도의 도입, 시간제공무원제도와 외국인공무원 채용제도의 도입 등 계약적 공무원제도는 그 분야와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계약책 공무원의 규모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계약직 공무원의 태도와 행동은 정부활동의 성과와 서비스 제공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계약직 공무원의 태도와 행동이 긍정적인지 그리고 일반직 공무원 등 비계약직 공무원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다. 설문조사는 중앙행정부처 계약적 공무원 전원과, 각 계약직 공무원과 비슷한 직위에서 비슷한 직무를 수행하는 통수의 비계약직(일반직, 기능직, 별정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유사한 위치의 계약직과 비계약직 공무원의 직무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비교·분석한다. 일반적으로, 계약직 공무원들은 비계약직 공무원들에 비하여 직무만족 둥 조직행태 변수에 있어서 보다 부정적인 인식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조사결과, 계약직공무원들은 비계약직 공무원들에 비하여 직무만족, 조직의 지원,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등에 있어서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약직 공무원가운데에는 전문계약직 공무원들이 일반계약적 공무원들에 비하여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조사 절과의 의미와 시사정을 아울러 논의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