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SCIE
분리 대두단백질과 염화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한 수용성 키토산 필름의 특성
Effect of Soy Protein Isolate and Calcium Chloride on the Properties of Water Soluble Chitosan Film
조지미 ( Ji Mi Cho ) , 박상규 ( Sang Kyu Park ) , 이유석 ( Youn Seok Lee ) , 이종욱 ( Chong Ouk Rhee )
UCI I410-ECN-0102-2009-520-003306751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수용성 키토산 필름 용액에 분리 대두단백질(SPI)과 CaCI_2의 첨가가 키토산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들을 첨가하여 제조한 필름의 색도, puncture strength, 인장강도와 신장률, 수증기투과도를 측정하였다. puncture strength는 0.15% CaCI_2를 첨가하여 제조한 키토산 필름이 458.8 g_f로 대조구의 174.5g_f보다 약 2.5배 증가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인장강도의 경우 대조구가 0.06 MPa인 반면에 0.05% CaCI_2를 첨가한 키토산 필름은 1.58 MPa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SPI를 2.5% 첨가한 필름은 0.73 MPa로 나타났다. 필름의 신장률은 12.25%인 반면 0.15% CaCI_2를 첨가한 필름은 44.80%로 CaCI_2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증기투과도는 CaCI_2를 첨가한 필름이 SPI를 첨가한 필름보다 더 낮은 값을 보였다.

Color value, total color difference (??E), puncture strength (PS), tensile strength (TS), percent elongation (%E) at break values, and water vapor permeability (WVP) were determined for water-soluble chitosan films added with soy protein isolate (SPI) and CaCl_2. Mechanical and water vapor barrier properties of the chitosan films were affected by SPI and CaCl_2 concentrations. PS value (174.5-458.8 g_f) of the chitosan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aCI2_2. TS value of 0.05% CaCl_2-added chitosan films significantly increased to 1.58 MPa compared to 0.06 MPa of the control. %E values ranged from 12.25 to 44.80%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aCl_2 WVP of CaCl_2-added films was lower than that of SPI-added film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