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가 산림을 통과하면서 변화하는 화학적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도 춘천지역의 소나무와 리기다 소나무 임분에서 임외우와 수관통과우, 수간류를 채취하여 pH 및 용존원소를 중심으로 한 화학적 조성의 수직적인 이동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임외우의 pH의 범위는 4.1∼7.1 이었으며, 평균 pH는 6.2±0.7로 나타났다. 소나무 임분의 경우는 수간류가 평균 pH 5.9±0.9 이었으며, 수관통과우는 pH 6.0±0.8로 측정되었다. 리기다 소나무 임분의 경우는 수간류가 pH 5.5±0.6, 수관통과우는 pH 5.8±0.7의 평균값이 측정되었다. 강우량에 따른 임외우와 임내우(수간류, 수관통과우)의 pH 변화는 전체적으로 강우량이 적은 경우에 pH 값이 넓게 분포하였으나,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거나 증가하여서 안정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외우와 소나무와 리기다 소나무의 수관통과우, 수간류에서 측정한 화학적 조성의 농도 변화는 양이온 중에서는 Ca^2+의 농도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음이온에서는 Cl^-을 제외한 나머지 SO^2-_4와 NO^-_3에서 임외우보다 현저하게 이온 농도가 증가하거나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강우에 의한 수목의 용탈과 세정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수목의 각 기관을 통과하면서 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ertical movement properties of precipitation passing forest stands (Pinus densiflor and Pinus rigida stands) in Chunchon, Kangwon-do. The results wer eas follows: The pH range of precipitation was 4.08~7.08, and the average pH showed 6.2±0.7. The average pH of the Pinus densiflora stand showed that the stemflow was 5.9±0.9, and the throughfall was 6.0±0.8. The pH value of stemflow and throughfall in Pinus rigida stand was lower than for the Pinus densiflor stand. Changes of the cation concentrations in two different stands, Ca^2+, increased more than the Mg^2+, K^+, and Na^+ ions. Anions, SO_4^2- and NO_3^- increased more than CI^-. Leaching and washout for each species differed by precipitation and influence of tree organs (crown, branch, stem,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