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발도리속 말발도리열(ser. Parviflorae)에 속하는 분류군[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var. parviflora), 털말발도리(D. parviflora var. amurensis), D. parviflora var. micrantha, D. mollis, 물참대(D. glabrata var. glabrata와 var. sesilifolia)]에 대한 실체를 재조명하기 위해 정성형질과 19개 정량형질(15개 정량 형질+4개의 비율)의 다변량분석(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성형질인 성모의 立毛는 털말발도리의 경우 존재하지 않는 반면, 말발도리와 D. parviflora var. micrantha 잎의 뒷면에서는 확인되었다. D. parviflora complex 성모의 밀도는 3mm^2 내에 3-45개로서 각 분류군간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기존 연구의 주요 형질로 언급된 잎의 앞면과의 성모 밀도, 잎의 길이/폭의 비율 등은 한국과 중국의 집단과 종간에서 모두 연속 변이로 확인되어 종간 식별 형질로는 타당하지 않았다. 물참대와 D. mollis를 포함한 말발도리 분류군에 대한 주성분 분석에서 물참대와 D. mollis 등은 뚜렷이 구별되었지만, 말발도리내 종이하 분류군(세 변종)은 모두 중첩되었다. 본 연구 결과, 말발도리와 털말발도리는 정량적 형질이 모두 연속변이로 유효형질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立毛의 존재여부, 즉 정성 형질로 식별이 가능하여 털말발도리는 변종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var. micrantha의 경우, 변종으로 설정할 뚜렷한 형태적 특징이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물참대의 변종으로 알려졌던, D. glabrata var. sessilifolia의 특징인 엽병과 성모는 종간 유효형질이 아니어서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말발도리절내의 열간의 형태적 특징을 종합하여 볼 때, 물참대열과 말발도리열오 양분하는 것보다는 말발도리열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 타당하였다.
Flower specimens of one hundred and forth eight individuals from China and Korea were sampled to investigate patterns of intraspecific variation and to evaluate recognition of taxa within series Parviflorae (Deutzia parviflora var. parviflora, var. amurensis, var. micrantha, D. glabrata, and D. mollis; sensu Huang) of sect. Mesoduetiza, genus Deutzia using morphometric analysis. Generally the morphological discontinuity among D. parviflora complex except D. glabrata was not evident in the number of rays, the density of hairs (per 3mm^2), flower size, leaf length, and leaf width. In the PCA, strong discontinuities exist between D. mollis/D. glabrata and D. parviflora complex in plots of PC 1 vs 2 and 1 vs 3. However, much overlap among D. parviflora complex occurs in the left and central regions of the PCA. The best single qualitative character for separating var. parviflora from var. amurensis, however, is a presence of central ray in leaf.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ar. amurensis and var. parviflora with a presence/absence of central ray, continued recognition at the infraspecifc level for these taxa is supported. The current morphological study supports the treatment of sers. Parviflorae and Glabratae within sect. Mesodeutzia as a unified group rather than as two different series (sensu Hu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