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중국철학 : 묵가의 교육사상 - 공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Chinese Philosophy : The educational thought of Mohists
윤무학 ( Mu Hak Yun )
동양철학연구 32권 229-255(27pages)
UCI I410-ECN-0102-2009-150-004395234

교육의 개념을 `문화 속에서의 모든 삶의 경험`이라고 넓게 정의하든지 아니면 `일정한 지식이나 기능을 습득시키는 학습활동`이라고 좁혀서 보든지 간에 교육 현상의 구조는 시간과 공간, 교육내용, 교육방법, 사람(교육자와 피교육자) 등의 요소의 복합으로 이루어진다. 본고에서는 墨家의 교육사상을 이와 같은 요소의 구별을 중심으로 孔子의 입장과 대비시켜 살펴보았다. 첫째, 교육의 대상에 있어서 공자는 교육의 기회를 일반인에까지 확장하였다. 그러나 교육의 내용과 실제 효과를 감안해서 평가한다면 당시 대중교육을 담당한 것은 묵가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육의 방법에 있어서 묵가는 대부분 공자와 일치한다. 다만 묵가는 공자의 `不憤不啓`라는 피교육자의 자발성을 전제로 하는 교육방침에 만족하지 않는다. 이것은 묵가의 교육 대상이 대부분 노동자와 농민 등 사회의 하층민이었다는 데서 연유한 바 크며, 이러한 적극적이고 계몽적인 교육사상은 오늘날에도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 셋째, 교육의 내용면에서 공자는 `君子不器`를 전제로 윤리교육을 위주로 하면서 禮 · 樂 · 射 · 御 · 書 · 數 등 六藝로써 보충하였다. 그러나 묵가는 기본적으로 당시 민중의 현실적 이익을 도모한다는 입장에서 禮 · 樂을 무용한 것으로 배제하고 실용주의적 이념과 그 실천에 전력투구하였다. 묵가에서 집단 내부 구성원의 미신을 전제로 天 · 鬼 관념을 적극적으로 선양하는 근본적 이유도 여기에 있다. 또한 인간의 인식이 발전함에 따라서 묵가식의 天 · 鬼觀을 비롯한 미신 관념은 점점 퇴색할 수밖에 없었고 결과적으로 그토록 효율적이고 실천적이었던 법 관념의 정당성 또한 동요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필자가 보기에 이 또한 묵가의 소멸과 일정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일정한 시간과 공간을 전제로 한 실용주의적 교육 사상의 한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phenomenon consists of a mixture of elements like time, space, contents of education, and persons (educators and learners) whether the concept of education be broadly defined as all the experiences in life or narrowly a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imed at getting learners trained in certain knowledges and skills. This thesis examines the educational thought of Mohists in comparison with the position of Kongzi. First, in terms of subjects of education, Konzi expanded opportunities for education to ordinary people. But considering the contents and practical effects of education, it was Mohists who bore the mass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methods of education, Mohists coincide with Kongzi for the most part. However, Mohists are not content with Kongzi`s educational principles presupposing learners` spontaneity like "no strenuous efforts, no education". This attitude results from the fact that most subjects of education for Mohists were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like laborers and farmers. And such positive and enlightening thought of education has certain significance today. Third, in terms of contents of education, Kongzi ga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moral education supplementing with Liuyi(禮樂). Putting deviation in the real history of Confucianism out of the ques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of Confucianists correspond to education for the whole man. Yet, basically from the standpoint of seeking the actual interests of the masses, Mohists excluded Li and Yue a useless and devoted their best effort to pragmatic idea and its practice. This point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extinction of Mohist group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