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의 불균등한 관계실태를 고찰하고, 이러한 관계를 토대로 양자간의 갈등원인을 분석하여 그러한 갈등원인별 사례분석을 실시하고 그 해결책을 중심으로 양자간에 합리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대안들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몇가지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였는데 첫째, 양자간의 관계가 대등하지 못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기능배분의 불균등 문제와 불합리한 지도·감독의 관계 때문이었다. 둘째,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의 갈등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요약되었는데 그것은 민선시대에 역행하는 행정행태와 불평등한 권력관계 및 불합리한 기능·사무배분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의 합리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 대안이 필요한데 그것은 인식 및 행정행태의 전환, 기능·사무배분의 함리화와 지도·감독의 개선이다. 양자의 인식 및 행태전환을 위해서는 인사교류와 활성화, 광역시의 정책결정과정에 당해 자치구·군의 참여보장, 주민참여의 보장과 정보제공의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무배분의 합리화와 지도·감독기능이 유인제도를 통한 비권력적 관여로 전환되는 것이 요청된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로서는 외국의 풍부한 사례 및 법·제도·관행 등과 우리나라의 사례 및 법·제도·관행 등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에게 맞는 법·제도·관행 등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