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공무원수의 증가가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증가가 행정수요의 증가에 의한 것인지를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만일 지방자치단체공무원의 증가가 수요의 증가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경우 이는 $quot;과잉인원(oversized staff)$quot;으로 지방자치단체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의미하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시의 공무원규모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수요측면의 요인들의 영향을 집적시계열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의 공무원규모는 부분적으로 수요측면의 요인에 의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은 시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갖는다. 특히 인구감소의 빈도가 높은 시의 경우 공무원의 규모가 인구의 변화와 관계없이 증가하여 과잉인력현상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행정수요가 증가하면 지방자치단체공무원의 규모는 증가하나 행정수요가 감소하여도 지방자치단체공무원의 규모는 감소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