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수술적 치료를 받은 초기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 높은 치료 실패율을 보이는 조직 병리학적 고위험 예후인자로는 육안적 또는 미세현미경적 임파절 전이, 자궁방 결합조직의 암침윤, 자궁경부실질의 임프혈관침윤, 자궁경부실질내 암세포 침윤깊이 ≥10㎜ 등이 있으며,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에 따른 조직 병리학적 고위험 예후인자에 있어서의 치료성적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 1979년부터 1998년까지 수술적 치료를 받은 후 조직 병리학적 고위험 예후인자가 한가지 이상 확인되어 연세의료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을 시행받은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 8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보조 항암화학요법은 3주 간격으로 3회 이상 6회까지 투여하였는데, 편평상피암의 경우 cisplatin 100 ㎎/m^2 또는 paraplatin 350 ㎎/m^2을 정맥주사한 후, 5-FU 1000 ㎎/m^2를 5일간 정맥주사하였다. 수술 후 보조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은 23예, 수술 후 보조 항암화학요법은 38예에서 시행하였고, 19예에서 수술 후 보조 방사선 치료 단독요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육안적 임파절 전이가 있었던 경우는 수술 후 보조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에서 66.7%, 수술 후 보조 방사선요법에서 35.7%의 5년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미세현미경적 임파절 전이의 경우는 수술 후 보조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군에서 각각 83.3%, 60.0%, 70.1%의 5년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자궁방 결합조직의 암침윤이 있었던 경우는 수술 후 보조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에서 58.1%의 5년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자궁경부실질의 임프혈관침윤이 있었던 경우는 수술 후 보조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군에서 각각 100%, 90.9%, 66.7%의 5년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자궁경부실질내 암세포 침윤깊이 ≥10㎜인 경우는 수술 후 보조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군에서 각각 100%, 91.3%의 5년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결론 : 조직 병리학적 고위험 예후인자를 가진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방사선 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을 단독으로 시행하는 경우보다 수술 후 보조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경우에서 좋은 치료성적을 보였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was evaluated in preventing treatment failure occurring after primary treatment with surgery in early invasive cervical cancer patients associated with histopathologic high risk factors such as lymph node metastasis, either macroscopic or microscopic, parametrial extension, lymphovascular permeation and depth of invasion ≥10 ㎜. Methods : Postoperative adjuva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PCCRT),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PCT) or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PRT) alone was administered to the 80 early invasive cervical cancers with at least one of the high risk factors. Each of 61 patients was received three to six cycles of chemotherapy at about 3-weeks intervals. For squamous cell carcinoma, cisplatin 100 ㎎/㎡ Ⅳ, or paraplatin 350 ㎎/㎡ Ⅳ was infused followed by 5-FU 1000 ㎎/㎡ Ⅳ infusion for 5 days. Twenty three patients were treated with PCCRT, 38 patients were treated with PCT alone. And 19 patients received PRT. Results :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macroscopic metastasis was 66.7% and 35.7%, in PCCRT and PRT, respectively. With microscopic lymph node metastasis, the 5-year survival rate was 83.3%, 60.0%, and 70.1% in PCCRT, PCT and PRT, respectively. With parametrial extension, the 5-year survival rate was 58.1% in PCCRT.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lymphovascular permeation was 100% 90.9% and 66.7% in PCCRT, PCT and PRT, respectively. With depth of invasion ≥10 ㎜, the 5-year survival rate was 100% and 91.3%, in PCCRT and PCT, respectively. Conclusion : PCCRT appears to be superior to PRT or PCT alone in early invasive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histopathologic high risk factors.